X

해저에너지자원 정밀탐사선 개발 1900억 투입

문승관 기자I 2021.01.28 11:00:00

6000톤급 고성능 해저자원 물리탐사연구선 2024년까지 건조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총사업비 약 1900억원을 투자해 6000톤급 해저자원 물리탐사연구선(탐해 3호) 건조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산업부와 물리탐사연구선 건조사업 주관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건조사인 한진중공업은 이날 지질자원연구원에서 ‘3D/4D 물리탐사연구선 건조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물리탐사연구선은 건조사인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약 3년에 걸쳐 설계, 건조, 시험 운전을 마치고 인도해 2024년에 공식 취항할 예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해저자원 탐사는 국내 유일한 물리탐사연구선인 탐해 2호(1996년 건조, 2085톤급)를 통해 진행했으나 선박과 연구장비가 노후화해 새로운 물리탐사연구선을 건조하게 됐다.

탐해 2호는 3차원 지층 영상을 획득하는 소규모 3D 스트리머 장비를 탑재했으며 세계에서 5번째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발견(동해)하는 등 국내 해저자원 탐사에 크게 이바지했다.

이번에 건조할 신규 물리탐사연구선은 규모 확대(2000톤급 → 6000톤급)와 내빙등급 적용으로 국내 대륙붕에서 북극 자원 국제 공동탐사 등 극지·대양으로 탐사범위를 확대했다. 기존 탐해 2호보다 3배 넓은 면적을 더 깊고 정밀하게 스캔할 수 있는 6㎞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하고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장비를 탑재해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과 정밀성을 크게 높였다.

새로 건조하는 물리탐사연구선에 탑재한 첨단 장비는 해저자원 탐사뿐만 아니라 해저단층의 조사·분석을 통한 해저지진 조사·대비, 원전 등 위험시설 입지 결정, CO2 해저 지중저장 모니터링(온실가스감축)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다.

문동민 산업부 자원산업정책관은 “이번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의 건조를 마치면 대륙붕과 극지로의 해저자원개발의 영역을 넓혀 우리나라 해저자원탐사의 기술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