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부, 영월 정수지서 유충 발견…26곳 정수처리과정서 발견

김경은 기자I 2022.08.16 12:05:29

창원ㆍ수원시 정밀역할조사…시설고장 및 방충설비 미비
유충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 매일 감시
정수단계 정밀여과장치 등 차단장치 도입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정부가 전국 485곳의 정수장을 대상으로 위생관리실태를 특별점검한 결과 강원도 영월 쌍용정수장에서 정수처리공정이 끝난 정수지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26곳의 정수장은 원수 및 정수처리과정에서 유충이 발견됐다.

환경부는 16일 올해 7월 경상남도 창원시와 경기도 수원시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됨에 따라 전국 485곳의 정수장을 대상으로 7월 19일부터 8월 8일까지 위생관리실태를 특별점검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점검으로 정수처리공정이 끝난 정수지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곳은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쌍용정수장 1곳(1마리)이었고, 원수 및 정수처리과정에서 유충이 발견된 26곳의 정수장은 정수처리가 완료된 정수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쌍용정수장은 정수지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즉시 정수지 유입부에 미세차단망을 설치하고, 정수지와 배수지를 청소하는 등 긴급조치를 실시했다. 해당 지역에서도 유충을 발견했다는 신고는 없었다.

유충이 발견된 26곳의 정수장은 원수(11곳) 및 침전지(2곳), 여과지 및 활성탄지(13곳) 등으로 이뤄졌다.

원수 또는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된 깔따구 유충은 침전지, 여과지 등 정수처리공정의 정상적인 운영을 통해 제거되고 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7월 가정 내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었다는 민원이 발생한 창원시와 수원시에 대해 발생원인을 정밀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도 이날 발표했다.

창원은 원수(2마리), 정수처리과정(149마리) 및 정수장 주변(14마리)에서 발견된 깔따구 165마리에 대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총 16종의 유충이 확인됐다. 정수장 주변에서 발견된 종과 동일한 종이 정수처리공정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는 점과 여과지동(여과지, 활성탄)의 방충망 규격이 촘촘하지 않고 일부 파손되어 있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방충설비 미흡으로 정수공정 내부에 깔따구 성충이 유입되고 정수장 공간 중 개방되어 있는 착수정과 침전지 등으로 깔따구 유충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유입된 깔따구가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가정까지 유출된 이유로 전처리 약품을 적게 주입함에 따라 유충이 불활성화 또는 사멸되지 않고 번식·성장해 수도관을 통해 가정까지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다. 창원 정수장은 오존발생기 3대 중 기계 고장, 노후화 등으로 당시 1대만 정상 가동 가능 중이었다.

수원시 정수장은 방충설비 미비로 활성탄지 내부로 깔따구 성충이 유입되고 폭우 시(6월 30일) 광교저수지의 원수(7월 1일 고탁도142NTU 유입)에서 깔따구 유충이 유입된 것으로 조사반은 추정했다. 아울러 유입된 깔따구가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가정까지 유출된 이유로 활성탄지의 오존투입 설비 고장으로 유입된 유충이 활성탄지에서 사멸되지 않고 번식·성장하여 수도관을 통해 이동한 것으로 추정했다. 활성탄지에서만 유충이 발견돼 유전자 분석은 하지 않았다.

환경부는 앞으로 먹는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깔따구 유충을 먹는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해 매일 감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또 유충이 정수장 내에서 발생하더라도 가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가장 마지막 정수 단계에 정밀여과장치와 같은 유충 유출 차단장치를 도입하는 등 추가적인 위생관리 조치도 강화할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