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원유철 임기연장 없다…“5월까지 합당 결의”

조용석 기자I 2020.05.22 13:43:10

22일 미래한국당 최고위원회 최종 결정
“대표 임기연장 전당대회 취소…29일까지 합당”
전방위 압박에 물러선 원유철…“당대당 통합해야”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통합당과 합당 결의‘를 발표하고 있다.(사진 = 연합뉴스)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미래한국당이 원유철 대표의 임기를 연장하지 않고 오는 29일까지 미래통합당과 합당하기로 했다. 시기 등을 문제 삼으며 통합 작업을 지연시킨 원 대표 등 미래한국당 지도부가 전방위 압박에 사실상 백기를 듯 셈이다.

미래한국당은 22일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이같이 발표했다. 미래한국당은 이날 오전 일찍부터 당선인-지도부 간담회 등을 거쳐 의견을 모아 최고위를 열었고 최종 결론을 내렸다.

원 대표는 “당 최고위는 오는 29일까지 통합당과 합당을 결의하고, 26일로 예정한 (임기연장을 위한) 전당대회를 취소한다. 전당대회 대신 현역의원·당선인·당직자 의견을 듣는 최종 마무리의 장으로 전환한다”라고 설명했다.

당초 26일 전당대회는 통합당과 합당이 5월 이후로 연기될 경우 지도부 공백 사태가 발생하기에 원 대표의 임기연장을 위한 당헌 개정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달 내로 합당하기로 결정, 원 대표 임기연장을 위한 전당대회도 할 필요가 없어졌다.

원 대표는 “합당 수임 기구에서 염동열 사무총장과 최승재 당선인이 실무절차를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개인적으로는 29일 전에 합당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통합당에 흡수통합하는 형태가 아닌 당대당 통합으로 합당이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원 대표 등 미래한국당 지도부는 통합당과 합당에는 동의했으나 시기를 조절해야 한단 입장을 밝혔다. 이 때문에 정치권에서는 미래한국당(19석)이 1석을 추가해 공동교섭단체(20석 이상)를 만드는 등 독자 세력화를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왔다.

이에 대해 여권은 물론 보수 야권 내부에서도 비판이 나왔다. 통합당은 전날 당선인 워크숍에서 “통합당은 조건 없이 5월 29일까지 미래한국당과 반드시 통합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해 미래한국당 지도부를 압박했다. 미래한국당 당선인도 같은 날 오찬 모임 등을 통해 당 지도부에 조속한 통합을 촉구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통합당 거대양당이 21대 총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비례대표 위성정당은 사라지게 됐다. 민주당은 지난 13일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합당 절차를 마무리한 바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