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미래차·가전·전자 등 6대 산업 신성장동력 육성에 2.9조 투입

문승관 기자I 2020.10.28 11:17:06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3년간 100개 과제 발굴·시행

[이데일리 문승관 기자] 정부가 미래자동차, 가전·전자 등 6대 산업 분야에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총 2조9000억원을 지원한다. 3년간 10개 분야 연대를 결성하고 100개 디지털 전환 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산업 디지털 전환 연대’ 출범식을 개최하고 이러한 내용의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디지털 전환 연대는 정부가 지난 8월 한국판 뉴딜의 하나로 발표한 ‘디지털 기반 산업혁신성장 전략’의 후속 조치다. 산업 활동 전 영역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산업 데이터를 활용해 업계 문제를 해결하고 신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 과제를 발굴·시행한다.

미래차, 가전·전자, 헬스케어, 조선, 유통, 소재부품 등 6개 분야에서 150여 개의 기업·기관이 17여개 팀을 구성해 참여했다. 디지털 전환 연대는 앞으로 3년간 10개 분야 연대를 결성하고 100개 디지털 전환 과제를 발굴하기로 했다.

올해에는 디지털 전환 성공 가능성, 산업 생태계 체계적 구성 여부 등을 고려해 6개 분야 연대를 구성하고 20개 과제 발굴을 우선 추진한다. 업종·분야별로 협회, 전문연, 출연연 등이 안내자 역할을 맡아 업계의 산업 데이터 공유·협력 방향, 디지털 전환 과제 발굴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디지털 전환 연대를 통해 발굴한 과제에 대해 2024년까지 산업 지능화 펀드 4000억원을 조성해 자금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신용보증기금을 통한 보증지원 1조5000억원, 신한은행의 추가 신용 대출 5200억원 등 금융지원 업무협약(MOU)도 체결하기로 했다. 산업 연구개발(R&D) 과제 중 디지털 전환 분야에 내년부터 52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투입한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신제품 출시와 신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규제 개선에 대해선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지원한다. 전문 지원 조직으로는 산업지능화협회, 산업R&D 전담기관(산업기술평가관리원·산업기술진흥원) 등이 참여하는 정책협의회를 구성했다.

정부는 고민정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및 지능화 촉진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국회와 협력해 조속히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디지털 전환 과제 발굴(분야별 연대) → 과제 고도화(정책협의회) → 선도과제 선정(산업 디지털전환 위원회) → 확산(협업지원센터 등)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산업 디지털 전환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하는 디지털 경제 시대에 제조업 중심이던 우리 산업의 부가가치를 한 단계 높이고 선도형 경제로 탈바꿈하는 발판을 제공할 것”이라며 “우리가 보유한 제조·정보통신기술(ICT) 기반과 민간의 성공 DNA를 통해 ‘대한민국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