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R&D 삭감 여파 현실로···이공계 커리어 불안감 커졌다

강민구 기자I 2024.05.17 16:24:51

KAIST 대학원 총학생회 조사 결과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정부가 올해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 대비 4조6000억(14.7%) 삭감하면서 이공계 특성화대학 학생들도 피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비 삭감 비율 질문 응답.(자료=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총학생회)
한국과학기술원(KAIST) 대학원총학생회는 17일 R&D 예산 삭감의 여파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이 조사됐다고 밝혔다. 총학생회는 지난 3월 25일부터 4월 3일까지 온라인으로 △연구조사비 감소에 따른 일상생활 어려움 △연구비 감소에 따른 연구 진행의 어려움 △이공계 진로를 계속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실질적 어려움에 대해 학생들이 체감하는 여파를 조사했다.

응답자들은 주로 생활비 측면에서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 중에서 식비 절감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생활비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 수입활동을 하느라 연구에 투자할 시간이 줄어들고, 주거비 절감이 강제된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에 수주하던 연구비 삭감 비율은 △20~29% 삭감(18.82%) △30~39% 삭감(12.21%) △10~19% 삭감(10.6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비 삭감 이유를 누구에게도 설명을 듣지 못했다는 응답은 41.24%에 달했다. 반면, 과제 발주처(7.18%)나 지도교수(15.95%)에게 들었다는 응답은 낮게 나타났다.

R&D 삭감에 따른 연구 활동의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는 △예정된 해외 학회 참석을 취소하는 일들이 생기고 있음 △연구를 계속해서 할 수 있을지 의문 △ 실험비에 사비를 사용 중임 △연구에 필수적인 장비가 고장 났는데 수리도 못함 △과제 협약들이 늦어지면서 실험·분석을 하지 못한 기간이 발생했음 등의 의견들이 나왔다.

학생회는 “대학원생에게 가장 치명적인 여파는 당장의 어려움이 아니라, 오히려 이공계에서 커리어(경력)를 계속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제대로 된 소통이나 사전 공지 없이 연구비가 깎였다는 점, 그리고 이런 일이 언제 재발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지적하는 답변들이 많았다”라고 설명했다.

학생회는 이어 “(삭감) 영향은 심적인 충격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연구 진행에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라며 “연구 재료·장비를 제대로 사용할 수가 없다는 점, 국내외 학회에 갈 수가 없으니 다른 학자와 교류하기 힘들고, 부족한 예산을 채우기 위해 새 과제에 지원하느라 기존에 하던 연구에 집중할 시간이 줄어든다는 점 등이 주요 영향으로 조사됐다”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