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비대면 진료 초진부터”…국회 유니콘팜, 의료법 개정안 발의

김정유 기자I 2023.04.04 14:13:30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국회 스타트업연구모임 ‘유니콘팜’은 비대면 진료의 법적 근거와 초진을 허용하는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4일 밝혔다.

현행법상 비대면 진료는 코로나19 팬데믹을 맞아 한시적으로 허용된 상태다. 정부는 2020년 2월 의료인과 환자의 감염 예방을 위해 모든 의료기관의 전화 상담 및 처방을 허용하는 조치를 내린 바 있다 .

이어 국회 본회의에서 감염병 위기경보(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등으로 구분 ) 중 ‘ 심각 ’ 단계에서 한시적 비대면 진료를 실시할 수 있도록 ‘감염병예방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하지만 정부가 다음달 감염병 위기 경보 단계를 조정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비대면 진료도 중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내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경보가 최고 등급인 ‘심각’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2020년 2월 이후 현재까지 약 3661만건 이상이 비대면 진료로 이뤄졌다. 누적 이용자 수는 1379만명에 달한다. 특히 노인 · 장애인 등 이동 약자는 물론 통상적인 의료기관 운영 시간내 방문이 어려운 직장근로자 , 자영업자 , 소상공인 , 자녀를 양육 중인 맞벌이 부부 등이 비대면진료를 적극 이용하며 모든 국민의 의료접근성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이에 김성원(사진) 의원을 비롯한 유니콘팜은 비대면 진료 상시화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환자 범위 역시 네거티브 규제를 통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초진부터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개정안을 발의했다.

또, 의료인이 환자에게 비대면 진료 특수성 및 대면진료와의 차이점, 준수해야 하는 사항 등을 설명하는 의무를 부여하고 ,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에도 법적 지위를 부여하기로 했다. 정부 관리 · 감독 규정도 마련해 플랫폼 업계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해소하도록 했다 .

김 의원은 “OECD 38 개국 중 비대면진료가 허용되지 않는 곳은 한국 뿐”이라며 “G7 국가 중 6 개 국가가 초진을 허용하고 있는 만큼 , 한국도 비대면 진료의 혜택을 모든 국민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강훈식 의원도 “‘타다’ 는 정치권의 눈치보기에 떠밀려 결국 사업을 접고 그 여파가 국민에게 돌아갔다”며 “비대면진료 법안이 ‘제 2의 타다금지법’이 되지 않도록 국민 편익과 의료접근성 확대라는 관점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밝혔다 .

한편, 유니콘팜 제 4 호 법안인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유니콘팜 소속 의원 중 김성원 , 강훈식 , 김한규 , 이소영 , 이용 , 양정숙 , 장철민 등 7 인을 비롯해 권성동 , 박덕흠 , 윤창현 , 전용기 등 총 11 인의 여야 국회의원들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 .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