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제전문가 60% "가계부채, DSR LTV 이외 방법 강구해야"

김정현 기자I 2022.06.10 15:10:05

2022 한국금융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
교수·연구원·기업인·금융인 510명 대상 설문
“새 정부 금융정책, 이전 정부와는 달라야”
10명 중 8~9명 "예대금리차, 당국이 개입해야"

[이데일리 김정현 기자] 경제전문가들 10명 중 6명은 가계부채 억제를 위한 정책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활용하는 것에 “잘못 하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 방식을 이전 정부와 다르게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제언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가 1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2 한국금융학회 학술대회’에서 주제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김정현 기자)
1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2 한국금융학회 학술대회’에서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설문결과를 발표했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세계경제사회연구원이 한국개발연구원(KDI) 여론분석팀에 의뢰해 지난 2월 18~23일 5일간 경제전문가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발표했다. 경제전문가에는 교수 181명(35.5%), 연구원 94명(18.4%) 기업인 165명(32.4%), 금융인 70명(13.7%)이 포함됐다.

(자료=한국금융학회 제공)
가계부채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소득 증가 대비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다. 가계부채가 향후 한국경제의 뇌관이 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다만 경제전문가들은 LTV·DSR을 통한 가계부채 억제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봤다.

응답자 가운데 61.4%가 LTV·DSR의 가계부채 억제정책 활용에 부정적 응답을 냈다. ‘매우 잘못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이 17.5%, ‘잘 수행하고 있지 않는 편이다’는 응답이 43.9%였다.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 편’이라는 응답은 33.3%였고 ‘매우 적절히 수행하고 있다’는 대답은 5.3%에 불과했다.

허 교수는 “이 같은 설문결과는 새 정부의 금융정책 당국이 이전과는 다른 가계부채 위험 관리 방식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아울러 한국은행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와중에 은행들이 예금금리는 더디게, 대출금리는 빠르게 올린다는 지적에 당국 개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응답자 가운데 대부분인 85.1%가 “당국이 개입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같이 응답한 10명 중 6명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경제전문가들 중에서도 기업인들이 당국 차원의 은행 예대금리차 개입 의견이 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금융학회 제공)
한편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금융정책 방향과 관련해 ‘불공정행위 근절과 금융회사 책임강화’ 중요성이 크다고 봤다.

현안 당면 정책과제 가운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정책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39.4%가 불공정행위 근절 및 금융회사 책임강화를 통한 금융안정 확보를 꼽았다. 29.6%는 금융정책과 재정·통화정책 간 연계성 확대를 지적했다. 디지털 금융혁신이나 금융소비자보호를 외친 비율은 각각 16.1%, 14.9%였다.

포스트코로나 국면에서 발생할 경제위험 가운데 가장 큰 것에 대해 묻는 질의에는 37.3%가 인플레이션과 금리상승으로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커진 점을 꼽았다. 33.5%는 과다한 정부지출 증가로 인한 재정건전성 악화를 지적했다. 산업구조변화로 인한 양극화 확대(19.6%), 글로벌 공급망의 왜곡과 자국산업 우선주의 대두(9.6%) 순이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