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대차그룹, 친환경차 배터리 명칭 '리튬이온' 일원화

신민준 기자I 2022.07.08 14:43:14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 혼용 사용
고객 혼선 방지위해 리튬이온 배터리로만 사용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현대자동차(005380)그룹이 전기자동차, 수소연료전지자동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한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본사 전경. (사진=연합뉴스)
현대차와 기아(000270), 제네시스는 8일 각각 자사 홈페이지 고객 안내문을 통해 그간 가격표, 카달로그 등에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혼재해 사용해 왔던 것에 대해 사과하고 앞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기아 일부 고객은 니로전기차(EV)의 배터리 명칭이 카달로그에는 리튬 이온 배터리로, 가격표에는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각각 다르게 표기돼 있다며 의문을 제기해 왔다. 전통적으로 배터리 셀 내부 전해질에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액상 전해질인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분한다.

현대차그룹은 고객 안내문에서 “친환경차에 요구되는 성능과 내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든 고전압 배터리에 액상 전해질이 사용되고 있다. 전해질 소재로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는 없다”며 “따라서 과거 문헌적 의미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친환경차 관점에서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배터리”라고 밝혔다.

이어 “그럼에도 배터리와 완성차업계 등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용어를 사용해 왔던 것은 전해질 외에 음극과 양극, 분리막 등에 폴리머 성분이 함유된 배터리도 넓은 의미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친환경차에 탑재되는 모든 고전압 배터리의 셀 내부에 양극, 음극, 분리막에 폴리머 성분이 첨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이유로 친환경차 배터리 명칭을 혼용해 사용해 왔다. 현개차그룹은 앞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해 고객 혼선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는 과거에도 주요 편의사양 명칭을 일원화하고 차종별 옵션 패키지 명칭을 통일하는 등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앞으로도 보다 나은 서비스와 품질로 고객 여러분들의 사랑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