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분기 단기외채 3억 달러↑총외채서 비중은 5.5%p 감소

김은비 기자I 2024.05.22 13:52:30

기재부, ''2024년 1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
작년말比 단기외채 3억 달러↑…장기외채 54억 달러↓
단기외채 차지 비중 21.1%로 줄어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올해 1분기 대외채무가 6675억달러로 지난해말 보다 51억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외환 건전성의 척도로 여겨지는 단기외채 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분기 대외채무 현황(사진=기재부)
2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4년 1분기 대외채권·채무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대외채권(우리나라가 외국에서 받아야 할 채권)은 1조521억 달러로, 작년말(1조445억 달러) 보다 75억 달러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외채무는 6675억 달러로 지난해말(6725억 달러)보다 51억 달러 감소했다.

대외채권과 대외채무의 차이인 순대외채권은 3846억 달러로 작년말(3720억 달러) 대비 126억 달러 늘었다.

대외채무를 만기별로 보면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외채는 1410억 달러로 작년말 보다 3억 달러 증가했다. 반면, 만기 1년 초과의 장기외채는 5265억불로 작년말 대비 54억 달러 감소했다.

부문별로 구분하면 은행(7억 달러), 비은행권·공공·민간기업 등 기타부문(30억 달러)의 외채는 증가했다. 정부(71억 달러), 중앙은행(15억 달러) 등의 외채는 감소했다.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같은 기간(26.6%)보다 5.5%포인트 줄어든 21.1%다. 단기외채 비중은 지난해 2분기(24.6%), 3분기(22.1%), 4분기(20.9%)로 꾸준히 하향추세를 보이고 있다.

단기외채가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해 1분기(42.0%)보다 8.2%포인트 줄어든 33.6%다. 국내은행의 외채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은 2024년 1/4분기 기준 147.5%로 규제비율인 8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다만 주요국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동정세 불안 등 지정학적 이슈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여전히 확대시킬 수 있는 상황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정부는 관계기관 간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대외채무 동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