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尹 대화 제의 전공의 묵묵부답 사흘째…응급환자 '사망'(종합)

이지현 기자I 2024.04.04 11:54:05

전공의 사태 장기화 속 응급환자 사망사례 발생
중수본 현지 조사…응급실 뺑뺑이 늘지 않았지만
공중의·군의관 파견 연장 암 진료 협력병원 추가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전공의들과의 대화 제안이 벌써 사흘째가 됐다. 하지만 전공의들은 묵묵부답이다. 전날 만남 가능성이 예상됐지만 대화에 회의적인 강경파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했다. 정부는 이날도 전날처럼 전공의들의 만남을 기다린다는 방침이다.

서울 한 병원 전공의 전용공간에서 의료진 등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전병왕 의사 집단행동 중수본 총괄관 겸 보건복지부 의료정책실장은 4일 중수본 정례브리핑에서 전공의를 향해 “대화의 자리로 나와 주기 바란다”며 “열린 자세로 여러분들의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전공의 대화를 위한 밀고 당기기가 이어지는 사이 응급환자 사망사고가 뒤늦게 알려져 국민적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22일 충북 충주에 거주 중인 70대 A씨는 전신주에 깔리는 사고를 당한 뒤 적시에 치료받지 못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결과 A씨는 구급차를 통해 일반병원으로 이송돼 발목 골절치료만 받았다. 치료 과정에서 복강 내 출현이 발견됐지만 병원내 외과 의료진이 없어 수술이 불가능했다. A씨는 결국 약 100㎞ 떨어진 경기 수원의 아주대병원으로 이송됐으나 골든타임을 놓치며 사고 9시간여 만에 숨졌다.

전병왕 실장은 “수용 의뢰된 병원에 환자의 복강 내 출혈 관련 정보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며 “현재 현지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전공의 사태 장기화 속 응급환자가 수술할 의사를 만나지 못해 ‘응급실 뺑뺑이’를 하는 경우는 더 늘어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 실장은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재이송 건수 등은 지난 2022년보다 더 줄었다”며 “평시 대비해서 지금 응급실 뺑뺑이가 늘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의 부재로 재이송 건수가 2022년 대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은 있다”며 “이 부분은 집단행동 이후에 당직 등 전공의 공백을 전문의가 채우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중증, 응급 중심의 비상진료체계를 손질하며 전공의 사태 장기화에도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지난달 11일 1차 파견한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 154명이 4월 7일자로 파견기간이 종료함에 따라 110명의 기간을 한 달 연장하고 44명은 교체한다. 아울러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환자 전원 건당 정책지원금을 기존 8만9000원에서 12만원으로 상향한다.

의료기관 간 진료협력도 강화한다. 4일 기준 진료협력병원 168개소 중 암 진료 적정성 평가 1, 2등급 등 역량이 높은 병원과 협의해 47개 병원을 암 진료 협력병원으로 지정했다. 이를 통해 암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항암치료를 받은 뒤 집 근처 암 진료 협력병원에서 예후 관리를 받는 등 원활한 진료협력이 이뤄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암 환자 지원 강화를 위해 국립암센터에 ‘암 환자 상담 콜 센터’를 설치한다. 오는 5일까지 직원 모집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겸 중수본 본부장은 “정부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중증응급환자가 골든타임 내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