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나발니 석방 직전 살해"…수감자 맞교환 협상 있었나

이소현 기자I 2024.02.27 14:34:53

석방 협상 최종 단계 접어들었지만
푸틴 변심으로 협상 좌초 주장 제기
"푸틴, 나발니 석방 참을 수 없어 살해"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러시아 반정부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가 옥중 사망한 가운데 “나발니가 수감자 교환 협상을 통해 석방되기 직전에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나발니 사망 후 가족들이 그의 시신을 되찾기까지 일주일이 넘게 걸리면서 ‘푸틴 책임론’ ‘암살설’ 등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여러 주장이 제기된 가운데 측근의 추가 발언이 나온 것이다.

2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에 항의하는 시위에서 한 여성이 사망한 러시아 야당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의 사진을 들고 있다.(사진=로이터)


26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나발니의 동료인 마리아 페브치흐는 이날 유튜브에 올린 영상에서 이같이 밝히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배후로 지목했다.

페브치흐는 “지난 15일 나발니·미국 국적자 2명과 체첸 반군 사령관을 암살한 혐의로 독일에서 복역 중인 러시아 정보기관인 연방보안국(FSB) 소속 출신 바딤 크라시코프를 교환하자는 협상이 최종 단계에 이르렀었다는 확인을 받았다”며, “나발니는 며칠 내에 풀려났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페브치흐는 미국 시민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외신에선 미 해군 출신 폴 훨런과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 에반 게르시코비치로 추정했다.

그러나 나발니는 다음날인 16일 수감돼 있던 최북단 시베리아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제3교도소에서 산책 후 의식을 잃고 숨졌다. 러시아 당국은 나발니의 사인과 관련해 혈전에 의한 자연사라고 밝혔다.

페브치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나발니가 석방되는 것을 참을 수 없어 살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나발니는 바로 지금, 오늘 이 자리에 앉아 있을 수 있었다”며 “이건 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다. 실제로 그럴 수 있었고, 그래야만 했다”고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그는 서방 정부를 겨냥해 “그들은 나발니와 다른 정치범들을 돕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야기하고, 약속도 했지만 결국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들의 의지가 부족했다”며 “계획을 실행하는 데 꼬박 2년이 걸렸다. 덜 걸릴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2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으로 사망한 러시아 야당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의 사진과 함께 꽃과 촛불이 러시아 대사관 밖에 놓여 있다.(사진=로이터)
러시아 측의 입장은 엇갈린다. 나발니 석방과 관련해 두 러시아 소식통은 로이터통신에 “나발니 교환 관련 회담이 열렸으며, 합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반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그런 합의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미국과 독일 정부는 공식 확인을 거부하고 있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관련 질의에 “해외 억류자들을 석방하기 위한 내부 논의나 우리의 작업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며 “우리는 오랫동안 나발니의 석방을 촉구해왔다”고 원론적인 답변을 했다. 독일 정부는 “관련 보도에 대해 알고 있다”면서도 논평을 거부했다.

한편, 나발니의 시신은 사망 8일 만인 지난 24일 가족에게 인계됐으며, 장례절차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키라 야르미시 나발니 측 대변인은 이날 자신의 엑스 계정을 통해 “공개 장례식을 위한 장소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