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23 결산]코스피, 2년 연속 역성장…영업익 25%↓

김인경 기자I 2024.04.03 12:00:00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0.3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4.48% 줄어…삼성전자 빼면 2.77%↓
1000원 벌어 법인세 내고 손에 쥐는 돈 '28.6원'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지난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들이 2년 연속 역성장을 이어갔다. 상장사의 매출액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익은 줄었고, 결국 손에 쥐는 돈도 급감했다.

3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발표한 ‘유가증권시장 결산 실적’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사 615개사(696개사 중 금융업, 분할·합병, 감사의견 비적정 회사 등 81사 제외)의 지난해 누적 연결 매출액은 2825조1607억원으로 전년(2815조7130억원)보다 0.34% 증가했다.
지난해 코스피 615개사의 실적 합계[단위:억원, 출처:한국거래소]
하지만 영업이익은 줄었다. 작년 코스피 상장사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123조8332억원으로 전년(163조9821억원) 보다 24.48% 줄어들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역성장을 한 것이다. 미국의 고금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의 경기둔화까지 나타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작년 순이익 역시 80조9074억원으로 전년(134조7622억원)보다 39.96% 감소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매출액 9.2%를 차지하는 부동의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005930)를 제외할 경우, 매출액은 2566조2252억원으로 전년보다 2.10% 증가한다.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의 전년 대비 감소율도 2.77%로 낮아진다. 반도체 업황의 부진으로 삼성전자의 실적이 삐걱대며 코스피 전반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022년 43조4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6조60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코스피 기업들의 영업활동 능률은 악화했다. 지난해 코스피 기업들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4.38%로 전년(5.82%)보다 1.44%포인트(p) 하락했다.이는 매출액 1000원을 올리면 영업이익이 43.8원이라는 얘기다. 여기에 법인세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손에 쥐는 매출액순이익률은 28.6원에 불과했다. 2022년 47.9원보다 낮은 수치다. 글로벌 금리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소비심리까지 침체하며 기업 경영환경이 악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상장사 4곳 중 3곳(458개사, 74.47%)가 순이익 기준 흑자를 기록했다. 반면 157개사(25.53%)는 적자를 기록했다. 흑자 기업 중 흑자를 지속한 곳은 404개사로 나타났고 54개사는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적자 기업 157개사 중 적자를 지속한 곳은 92개로 집계됐고 지난해 적자로 전환한 곳은 65개사였다.

업종별로는 건설, 운수장비 등 9개 업종에서 매출액이 증가했고 의료정밀, 운수창고 등 8개 업종에서 매출액이 줄었다. 다만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은 5개에 불과했고 12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122.78%로 2022년 말(122.67%) 보다 0.11%포인트 증가했다. 부채 총계는 2190조1917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73% 늘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