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조달러 굴리는 글로벌 자산운용사, 日부동산 보는 이유는

이명철 기자I 2023.08.14 15:36:41

블랙스톤, 日부동산 45억달러 매각 후 추가 인수 검토
저금리에 부동산 수익 내기 좋은 환경, 외국인 투자 유입
중국인 단체여행 등 관광업 반등, 상업용 부동산 관심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블랙스톤이 일본 부동산 인수에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저금리 정책으로 부동산 투자를 통한 수익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쏠쏠’한 편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종료와 중국 단체 여행 재개 등 호재로 호텔 같은 상업용 부동산의 전망도 나쁘지 않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블룸버그는 13일(현지시간) 블랙스톤의 일본 부동산 책임자인 다이스케 키타의 말을 인용해 블랙스톤이 현재 일본에서 여러 건의 입찰에 참여하고 있으며 호텔·데이터센터 등 추가 인수를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랙스톤은 자산 규모만 1조달러(약 1330조원)에 달하는 대형 운용사다. 지난해에는 약 13억달러(약 1조7300억원) 규모의 부동산을 매각하는 등 자산 처리에 시간을 할애했다.

이제는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일본 시장에 매물을 탐색하고 있는 것이다. 키타는 블룸버그에 “우리 인수팀이 업무에 복귀하고 있다”며 “봄부터 파이프라인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와 경기 침체가 맞물려 대부분 부동산 시장은 부진한 상황이다. 금리가 오르면서 차입 비용이 늘어나는 데다 재택근무가 확대되면서 사무실 수요도 줄었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은 통화 완화 정책을 통해 낮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하는 대표 국가다. 저금리로 돈을 빌려 부동산에 투자하면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선호하기도 한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리얼 에셋(Real Assets)에 따르면 일본은 올해 상반기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가 163억달러(약 21조7000억원)로 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했다.

블랙스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약 75억달러(약 10조원)를 투자해 상업용 자산을 매입한 후 지난해부터 매각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45억달러(약 6조원) 규모를 처분해 수익을 냈으며 앞으로 1~2년 내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상당의 자산을 추가로 매각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자산 매각 뿐 아니라 새로운 인수도 알아보는 중이다. 블랙스톤은 일본에서 사모 신용사업을 시작해 올해 4월 300억달러(약 39조9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부동산 펀드를 마감했다.

블룸버그는 블랙스톤이 향후 5년 동안 일본에 최소 20억달러(약 2조7000억원)를 투자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또 사모펀드 부문을 통해 부동산 사업을 포함한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 거래에도 입찰했다.

일본은 앞으로 경기 회복 가능성이 더 높게 점쳐진다. 이중 관광업의 반등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 전망에 긍정적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여행 수요가 많은 중국에서는 최근 일본과 한국을 비롯해 다수 나라에 단체여행을 허용함으로써 여행업 회복세가 예상되고 있다.

앞으로 일본 부동산 투자자들의 관심은 일본의 통화정책이 어떻게 흘러갈지 여부다. 일본은행(BOJ)은 지난달 장기금리를 통제하는 수익률곡선제어(YCC) 전략을 일부 완화함으로써 긴축 신호를 보낸 바 있다.

블룸버그는 일본 부동산 거래는 평균 부채 비중이 70~75%에 수준으로 높아서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 조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