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PBR 지표 넘어 중장기 방향 제시해야 진짜 밸류업"

김인경 기자I 2024.02.26 13:10:35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기업밸류업 지원방안' 세미나 발언
"일본, PBR·ROE 외 다양한 지표로 장기이익 추구"
이사회 책임 강화와 소통확대 등 노력도 필요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효과적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안착을 위해선 기업 이사회의 책임 강화와 중장기적인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투자자들 역시 단순히 저(低) 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만으로는 지수를 초과하는 수익률을 얻기 힘든 만큼, 더 깐깐한 선별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26일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세미나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주주환원 강화, 지배구조 개선 등 복합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도쿄거래소(JPX)는 최근 기업들이 단기 PBR 개선에만 관심을 두기보다 중장기에 걸쳐 기업 상황에 맞는 다양한 수익 지표 개선을 권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일본 기업 아지노모토를 공시 우수 사례로 꼽으며 “단순히 PBR, 자기자본이익률(ROE) 지표에만 집중하지 않고 기업 상황에 맞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투하자본이익률(ROIC) 개선에 집중해 단기가 아닌 2030년까지 장기 이익을 발표한 점이 눈여겨 볼 만 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일본에서도 PBR이 낮을수록 수익률이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나 통계적 유의성은 높지 않았다”면서 “한국 역시 단순히 PBR, ROE 지표만 고집하기보다 기업에 적합한 다양한 투자 지표, 수익 지표를 고려해 중장기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밸류업 지원방안 외에도 증시를 끌어올리고 투자자와 시장이 소통할만한 다른 방안들도 제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일본 공적 연금과 일본 중앙은행이 거버넌스 개혁에 동참해 국내 주식 보유를 큰 폭으로 확대하면서 일본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며 “한국도 이를 적극적으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사회 책임을 강화하고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미국과 싱가포르에도 주목했다.

미국의 경우, 최근 5개년 회계연도의 임원 성과의 보수와 재무성과와의 관련성을 공시하도록 요구한다. 또 고의로 재무제표 조작 시 기존에 지급한 임원 성과 보수를 환수하도록 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상장사가 이사회 및 최고 경영자에게 지급한 보수의 정확한 내역을 연차 보고서에 공개하도록 의무화하고 사외이사 임기를 최대 9년으로 제한하고 있다.

26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한국 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밸류업 지원방안 1차세미나가 개최된 가운데 정은보 거래소 이사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한국거래소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