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우고 묻고 이제 그만…폐원단 조각 고품질 자원으로 재탄생한다

이연호 기자I 2024.01.15 12:00:00

환경부-서울 종로구·성동구·동대문구청-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 MOU
3개 자치구 발생 폐원단 조각 재질별로 선별해 재활용 확대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환경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성동구·동대문구청, (사)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와 오는 16일 서울 성동구청에서 봉제공장 등에서 발생한 폐원단 조각의 재활용 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15일 밝혔다.
폐원단 조각 재활용 체계 구축 시범사업 추진 체계도. 그래픽=환경부.
이번 시범사업은 기존에 종량제봉투에 담아 소각·매립하거나 폐기물에너지화시설(SRF) 등에서 열원으로 사용하던 폐원단 조각을 재질별로 분리배출하고 선별해 차량 흡음제 등으로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단순히 소각하거나 폐기하던 폐원단 조각을 물질 재활용 체계로 전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환경부 측 설명이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서울시 3개 자치구는 전용 수거봉투(마대)에 폐원단 조각이 재질별로 분리배출 되도록 현장에서 지원하고, 적정하게 수집·운반 및 재활용될 수 있도록 처리 비용 등을 보조할 예정이다.

또 (사)한국섬유자원순환협회는 폐원단 조각의 원활한 분리배출 및 수거를 위해 전용봉투를 공급하고 재질별 선별을 통해 원료 수급을 원활하게 해, 참여 회원사들이 각각의 다양한 재활용 제품(흡음제, 펠렛 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총괄해 추진하며 정책 및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폐원단 조각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지자체의 참여 확대를 독려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협약을 통해 봉제공장 등 배출자의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 효과, 분리 선별 및 재활용을 통한 소각·매립 최소화 효과, 폐원단 조각 재활용 성과 등을 평가해 추후 제도를 개선하고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조현수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폐섬유는 기본적으로 재질별 선별이 어려운 물질이지만 고품질 재활용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자원이다”며 “분리배출과 선별이 된다면 물질 재활용 체계로의 획기적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우수한 선별·재활용 체계를 계속해서 찾아내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