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숙대 교수들 “학교본부, 김건희 석사논문 표절 본조사 착수하라”

김형환 기자I 2022.09.14 14:05:41

숙명여대 교수협의회 10일 입장문 발표
“대학본부 규정 위반...본조사 착수해야”
동문·재학생·교수 등 논문 검증 압박↑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숙명여대 교수협의회가 대학본부에 김건희 여사의 석사학위 논문 표절 의혹을 조속히 조사하라는 입장문을 냈다.

숙명여대 재학생으로 이뤄진 ‘김건희 논문 심사 촉구 숙명여대 재학생 TF’가 지난 7일 숙명여대 정문 앞에서 김건희 여사 석사학위 논문 본조사 개최를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숙명여대 교수협의회는 지난 10일 입장문을 통해 “숙명여대 교수협의회는 본교의 입장을 존중하며 진행과정을 주시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협의회는 “숙명여대 대학본부는 김 여사 표절 의혹을 본교 연구윤리과정에 따라 공정하게 조사하겠다고 했다”면서도 “뚜렷한 사유 없이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가 본조사 실시를 미루고 있는 것에 대해 교수협의회도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숙명여대는 지난 3월 김 여사의 석사논문에 대한 예비 조사 결과 ‘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낸 바 있다. 숙명여대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 규정에 따르면 예비조사는 30일 이내 완료해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뒤 30일 이내 본조사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다만 ‘위원회를 언제까지 개최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는 상태다. 숙대는 이러한 규정을 빌미로 본조사를 미루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교수협의회는 “규정에 따르면 예비조사결과 승인 후 30일 이내에 본조사가 착수되어야 하고 본조사는 90일 이내에 완료해야 한다”며 “대학본부는 스스로 만든 규정을 이미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학본부가 규정을 교묘하게 해석해서 본조사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것을 비판하고 규정의 엄격한 적용을 요구한 것이다.

이들은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을 옹호하는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하며 자신들의 주장을 이어갔다. 일부에서는 김 여사가 석사논문을 썼던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연구윤리 기준이 없었기 때문에 표절 검증 자체가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협의회는 “시대를 불문하고 표절이 양심과 윤리의 위배라는 통상적인 개념이 존재하는 한 시기를 이유로 표절 검증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또 교수협의회는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이 사회적 이슈가 됐기 때문에 논문검증 결과가 무엇이 되든 논란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의견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들은 “논문검증 결과에 대한 외부의 해석이 검증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없다”며 “학문적 독립성과 자율성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삼아야 하는 대학이 외부의 시선에 흔들린다면 존재의 목적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협의회는 대학본부에 숙명여대 명예 회복을 위한 조속한 본조사 착수를 요구했다. 이들은 “윤리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가 떨어진다면 가장 큰 피해자는 우리가 길러내는 학생들”이라며 “학교본부가 규정에 충실해 본조사에 조속히 착수하고 공정한 조사를 거쳐 김 여사의 표절 논문 의혹에 대한 판정을 완료할 것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숙명여대 교수들까지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성명서를 내며 학교 구성원들의 논문 검증 본조사 착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앞서 숙명 민주동문회는 지난달 10일 김 여사의 석사학위 논문인 ‘파울 클레(Paul Klee)의 회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1999)를 자체 조사한 결과 표절률이 최소 48.1%에 달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일부 재학생들은 ‘김건희 논문 심사 촉구 숙명여대 재학생TF’를 꾸려 지난 1일부터 온·오프라인을 통해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10일 오후 7시 기준 재학생 1815명과 동문 832명이 온라인 서명에 참여했으며 지난 7일 오전 10시 기준 오프라인으로는 337명이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