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 지하철, 코로나19 대응 '총력'…역사 내부방역 주2회 늘려

김기덕 기자I 2020.02.28 11:15:00

확진자 동선 따라 역사 내 특별방역
승무원 감염시 대체근무자 투입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교통공사는 코로나-19(COVID-19)의 지역사회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지하철 방역을 대폭 강화한다고 28일 밝혔다.

공사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에도 평소 전동차 손잡이 소독·객실 분무 소독 등 시설물 방역 작업을 주기적으로 꾸준히 실시해 왔다. 이후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감염병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까지 상향되자 최고 수준까지 방역을 강화해 실시 중이다.

먼저 위기경보 경계 단계 시 주 1회 실시하던 지하철 역사 내부 방역을 주 2회로 늘렸다. 화장실 방역은 일 1회에서 2회 소독으로 강화했다. 1회용 교통카드 세척도 5일 1회에서 1일 1회로 그 횟수를 크게 늘렸다.

전동차 내 방역소독도 대폭 강화했다. 이용객들의 손 접촉이 많은 손잡이는 기존에는 기지 입고 시 소독을 실시했으나, 현재는 전동차 회차 시마다 매번 실시한다. 주 2회 실시하던 의자 옆 안전봉과 객실 내 분무 소독도 회차 시마다 진행 중이다.

코로나19 확진자 이동 동선에 따른 방역 작업도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와 서울시 질병관리과가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공개하면, 이를 바탕으로 해당 확진자가 이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전동차와 지하철 역사에 특별 방역소독을 추가 실시하고 있다.

공사는 또 근무자가 확진에 걸릴 경우를 대비해 지하철이 멈추지 않도록 대응책을 마련했다. 만약 전동차를 운행하는 승무원(기관사·차장) 중 확진 환자가 발생할 경우, 질병관리본부 소독안내 지침에 따라 해당 승무원이 근무하는 승무사업소를 폐쇄한 후 소독해 추가 확산을 막고 대체근무자를 인근 승무사업소에 최대한 투입할 예정이다.

역 직원 중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확진 환자가 다녔던 구역을 24시간 동안 폐쇄하고 소독한다. 근무 직원은 전부 자가격리하고 최소 2인 이상 대체근무인력 및 업무 대체공간(공실 상가 등)을 확보해 비상 상황에 대응한다. 역사 전체 폐쇄 시에는 안내문·안내방송 등으로 폐쇄 기간 및 영업재개 일시를 알릴 예정이다.

최정균 서울교통공사 사장직무대행은 “하루 750만 승객이 탑승하는 서울 지하철의 위생과 안전을 위해 공사는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며, “역사 내에서 기침 예절·손 소독제 사용·마스크 착용 등 기본 위생 수칙을 잊지 말고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관계자들이 서울 지하철 내부에서 방역 작업을 벌이고 있다.(서울교통공사 제공)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