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우스'까지 中에 넘어간다…韓 전략 세울 때"

김정남 기자I 2024.06.04 12:00:00

대한상의, 글로벌 사우스 수출 현황 분석

(출처=대한상의)


[이데일리 김정남 기자] 남반구 주요국을 뜻하는 ‘글로벌 사우스’가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시장 내 한중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4일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 대한 수출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글로벌 사우스 지역의 수입시장에서 지난해 한국의 점유율은 3.7%로 10년 전과 비교해 0.3%포인트 하락했다. 그 사이 중국의 점유율은 20.0%로 10년 전에 비해 6.2%포인트 상승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기존 제3세계, 개발도상국 등으로 부르던 국가들의 새로운 분류다. 북반구 고위도에 위치한 선진국을 칭하는 ‘글로벌 노스’와 대비해 남반구 및 북반구 저위도에 분포한 나라들을 가리킨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세계 15대 경제대국 중 글로벌 사우스 국가는 2022년 인도, 브라질, 멕시코 3곳이다. 그런데 2050년에는 인도네시아, 이집트, 사우디, 나이지라아가 더해져 7곳으로 늘 것으로 골드만삭스는 전망했다.

한국의 점유율은 아세안, 남아시아에서 반도체·전기전자 품목의 수출이 늘며 소폭 올랐지만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에서는 떨어졌다. 같은 기간 중국의 경우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특히 중동 지역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3년 3.3%에서 2021년 1.5%까지 하락한 후 지난해 1.7%로 소폭 회복했는데, 그 사이 중국의 경우 8.0%포인트 뛰었다. 중동 시장 점유율 감소는 △저유가에 따른 중동 국가들의 경기 둔화 △중국과의 경쟁 격화 등에 따른 것이라고 대한상의는 전했다.

대한상의는 “한국의 산업 구조가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전환하면서 수출 중심축이 글로벌 노스와 같은 선진국으로 넘어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그러나 앞으로 글로벌 사우스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미래 시장을 선점한다는 면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글로벌 사우스는 수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시장”이라며 “국가별·지역별로 니즈가 다른 만큼 시장에 맞는 핀포인트(pinpoint) 전략을 수립해 공략법을 찾고, 여기에 정부는 외교적·제도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