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세균 "수소제조용 천연가스 공급체계 마련, 원료비 인하 추진"

이진철 기자I 2020.10.15 11:14:57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 주재
"전력시장 수소연료전지 생산 전력구매 의무화 도입"
"수소법 개정 제도 도입, 향후 20년간 25조 신규 투자"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정세균 국무총리는 15일 “2040년 연료전지 8GW 달성을 목표로 전력시장에 수소연료전지로 생산한 전력을 구매하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천연가스 개질용 수소의 경제성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수소제조용 천연가스 공급체계를 마련하고 원료비를 인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고, 수소공급의 경제성을 제고하는 한편, 수소시범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수소경제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정 총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연합뉴스 제공
정 총리는“향후 수소법 개정을 통해 제도가 도입되면 연료전지 발전사업자들에게 안정적인 판매처를 제공하게 된다”면서 “향후 20년간 25조원 이상의 신규투자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대규모 수소생산시설에 가스공사가 천연가스를 직접 공급할 수 있게 하고, 고압공급배관 설치를 허용해 운영비 절감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제조용 천연가스에 개별요금제를 도입하고, 수입부과금 등을 일정기간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해 향후 최대 43% 가량의 천연가스 가격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는 내년 △수소모빌리티 △수소공급인프라 △수소핵심기술개발 △수소시범도시 등에 약 8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제1차 회의 이후 구축 중인 수소충전소 실시간 정보시스템을 내년부터 운영하고, 온 국민이 함께하는 수소(H2) 올림피아드와 수소경제리더스 포럼을 개최하는 등 수소경제 붐(Boom)을 확산시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작년말 지정한 울산, 안산, 전주·완주, 삼척 4개 지역의 ‘수소시범도시’ 구축에 본격 착수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소도시법을 제정할 것”이라고 언급도 했다. 그는 “ 내년 2월 수소법 시행을 위한 하위법령을 차질없이 제정하고, 수소차·충전소·연료전지 핵심부품 국산화를 통해 수소경제로 인한 산업육성, 고용창출 등 파급효과를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수소경제에 도전하는 나라는 우리뿐만이 아니다”라며 “미국, 유럽연합(EU), 일본,중국 등 주요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들도 경쟁적으로 수소경제를 선점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수소 분야는 아직 확실한 선두주자가 없기 때문에 우리도 충분히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있다”면서 “‘누구도 가보지 않은 수소경제로의 길’은 혼자가면 힘들고 어렵지만, 함께 가면 보다 빠르고 쉽게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기후변화 대응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으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변화는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에게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그린뉴딜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현실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