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디플레 탈출하나…임금 인상률 버블경제 이후 최고치

양지윤 기자I 2024.05.29 12:24:58

닛케이 자체 조사 결과
기업 10곳 중 9곳 기본급 인상
기본급 인상액, 지난해보다 75%↑
제조·건설·외식 등 인상률 높아…일본제철 14%↑
경제정상화 신호에 하반기 디플레 탈출 선언 기대감 커져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올해 일본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이 기본급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인상률도 5%대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기본급 인상 이행률과 평균 인상률 모두 버블(거품) 경제 시절이던 1990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올 하반기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탈출’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8일 도쿄 이케부쿠로 역 밖에서 시민들이 걷고 있다.(사진=AFP)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닛케이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기본급을 인상한 기업 비중은 94.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상장기업과 닛케이가 자체적으로 선정한 유력 비상장기업 2248개사 가운데 4월 25일 기준 544개 기업이 응답에 참여했다. 임금 인상률과 하계 상여금을 집계할 수 있는 기업만 추려내 조사했다.

기업들의 평균 기본급 인상액은 1만3594엔(약 11만794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증가했다. 정기승급과 성과급을 합한 평균 임금인상률은 5.67%로 지난해보다 1.61%포인트(p) 높아졌다. 전년과 비교 가능한 360개사를 대상으로 한 집계치다.

닛케이는 “전년을 웃도는 것은 3년 연속이며 1990년(5.94%)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제조업의 임금 인상률은 6.02%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전체 26개 업종 중 철강업이 가장 많이 올랐다. 올해 임금 인상률은 12.67%로 전년 대비 9.72%p 상승했다. 일본제철의 임금 인상률은 14.16%로 금액 기준으로는 전년에 견줘 약 4.7배로 인상해 노조의 요구치를 웃돌았다. 임금 인상에 대한 회사의 의지도 강하지만, 2년마다 ‘격년제 교섭’을 진행하는 것도 고인상률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건설, 외식 등 물가 상승과 인력난에 시달리는 기업들도 임금인상률이 높았다. 일본 최대 외식업체인 젠쇼홀딩스의 임금인상률은 12.2%를 기록했다. 이 회사는 2021년 노사가 임금인상을 30년까지 매년 실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기업들이 임금을 올릴 여력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일본종합연구소에 따르면 기업이 이익 등을 인건비로 얼마나 배분했는지를 나타내는 노동분배율은 작년 12월 기준 대기업이 37.7%로 전년 동기 대비 3.2%p 하락했다. 인건비 비중이 줄어 든 만큼 향후 이를 더 늘릴 여유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야마다 히사시 호세이대 교수는 “기업들은 설비투자와 기업 간 협력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임금 인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임금 상승률이 30년 만에 최고점을 찍으면서 일본 정부의 디플레이션 탈출 선언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물가 상승률도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의 목표 수준인 2%를 꾸준히 웃도는 등 경제 정상화 신호들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전날 “수입물가 상승으로 기업들의 임금 인상이 진행됐다”고 설명한 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예측을 0%에서 밀어 올리는 데 성공했다고 생각하지만, (이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면서 물가 정책을 주의깊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디플레이션 탈출 선언의 근거가 되는 각종 경제지표가 개선되면서 올 하반기 공식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디플레이션 탈출을 선언을 기준 금리를 한 번 더 올리겟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