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꾸는 숲으로 바꾼 20년 결실…국민 1인당 年 428만원 수혜

박진환 기자I 2020.11.11 11:10:00

산림청, 11일 숲가꾸기 정책의 추진성과 및 계획 발표
경제성 높은 수종 갱신…디지털 산림경영 기반도 마련

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11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11월 ‘숲가꾸기 기간’을 맞아 숲가꾸기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연간 221조원으로 국민 1인당 428만원의 혜택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은 1998년부터 시작한 숲가꾸기 정책을 통해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시켰다는 평이다.

산림청은 11월 ‘숲가꾸기 주간’을 맞아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숲가꾸기 정책의 추진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숲가꾸기는 어린나무를 심어 크게 자랄 수 있도록 나무심기 후 나이와 상태에 따라 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솎아베기 등의 작업을 통해 나무의 성장 환경을 만들어 주는 사업이다.

숲가꾸기는 나무를 심고 가꾸고 수확하는 산림자원 순환체계 및 산림경영의 핵심적인 정책이며, 예산액은 매년 평균 2200억원 내외로 산림청 전체 예산의 10%를 상회하는 중요한 업무이다.

산림청은 산림의 경제·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해 산림정책의 방향을 ‘심는 정책’에서 ‘가꾸는 정책’으로 전환하고, 1998년부터 410만㏊의 숲을 가꿨다.

이를 통해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증가시켰다.

지속적인 숲가꾸기를 통해 ㏊당 임목축적이 1998년 이전보다 3배 가량 증가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및 세계 주요 20개국(G20)을 대상으로 한 산림경영 성과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최근 25년간(1990~2015년) 임목축적 증가율이 1위를 기록했다.

또 산림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과거 국제통화기금(IMF) 때 대규모 일자리 창출로 경제회복에 기여했으며, 현재 연간 1만 1000명의 임업기능인 및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산림이 주는 다양한 공익적 기능도 국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했다.

산림녹화 정책으로 숲은 만들었지만 과거 속성수 위주의 나무심기로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에 산림청은 산림녹화 당시 식재한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등의 녹화수종 및 불량림을 벌채하고, 낙엽송과 같은 경제성이 높은 수종으로 갱신 후 생육 단계별로 필요한 숲가꾸기 정책으로 전환했다.

앞으로 숲가꾸기 정책 방향은 산불예방 등 국민안전 강화 및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 마련이다.

전국 153개 기관에서 4000여명이 참여하는 숲가꾸기 행사는 1977년 육림의 날을 시작으로 1995년부터 매년 11월 한달간 운영된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숲은 나무를 심는 것 이상으로 건강하게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숲가꾸기를 통해 잘 자란 나무가 앞으로 우리나라 산림을 더욱더 푸르고 건강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