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기술·복지 연계한 서비스 개발…6개 기업 선정

최오현 기자I 2024.05.16 12:00:00

오는 6월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5개 지자체·6개 기업 참여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보건복지부가 2024년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5개 지자체와 6개 기업을 선정했다.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돌봄로봇,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등 사회서비스와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 (사진=연합뉴스)
복지부는 16일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충남 당진시, 충남 금산군, 경기 동두천시 내 6개 기업(△돌봄드림 △누비랩 △실비아헬스 △메디로지스 △맨엔텔 △마크노바)을 시범사업 시행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6개 기업은 보유 기술·제품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주민들에게 시범 제공할 수 있다. 과제당 1억~2억원 지원비도 받게된다. 대표적으로 누비랩의 경우 ‘푸드 스캐너’를 활용해 어린이집에서 아동의 식습관 개선 콘텐츠 등을 제공한다. 메디로지스는 배뇨량이 측정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공립 요양시설에 제공해 노인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모델을 개발한다. 사업은 지역과 기업 간 협약 체결 및 계획 수립을 거쳐 6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이 중 우수한 성과를 입증한 기업은 상용화 및 판로개척에 이용할 수 있는 실증결과 확인서를 받고,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

김현준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민간의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방식의 효율성을 높인다”며 “정부는 복지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