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로 학생 체력 저하…1·2등급 줄고 4·5등급 늘었다

김형환 기자I 2023.04.24 12:24:00

1·2등급 38.7%…코로나 전보다 6.6%p↓
초·중·고 학생 모두 체력 저하 나타나
교육부 “비대면 원인…신체활동 독려”

[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코로나19로 학생들의 체력 수준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광주 남구 한 초등학교에서 열린 운동회에서 3학년 학생들이 마스크를 벗고 달리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4일 교육부가 초등학생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결과 최고 단계인 1등급이 지난해 5.5%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6.8%)보다 1.3%포인트(p) 감소했다. 다음 단계인 2등급(우수)는 지난해 34.3%로 2019년(38.5%)보다 4.2%p 감소했다. 지난해 1·2등급 학생은 38.7%로 2019년보다 6,6%p 줄어들었다.

반면 최하위 단계인 5등급은 지난해 1.9%로 2019년(1.2%)보다 0.7%p 늘어났다. 다음 하위 단계인 4등급은 지난해 14.7%로 2019년(11%)보다 3.7%p 증가했다. 지난해 4·5등급 학생은 16.6%로 2019년 보다 4.4%p 증가했다. 중간 단계인 3등급은 지난해 43.5%로 2019년(42.5%)과 비슷했다.

학생건강체력평가는 학생 신체능력 검사를 위한 진단·평가체계로 2009년부터 매년 초5~고3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심폐지구력·유연성·근력·순발력·체지방 등 5개 필수평가와 선택평가로 구성돼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학교급별로 살펴봐도 초·중·고 모두 코로나 이후 체력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2등급을 받은 초등학생 비율은 39.8%로 2019년(44.2%)보다 7.4%p 감소했다. 1·2등급 중학생 비율 역시 같은 기간 51.4%에서 42.4%로 9%p, 고등학생 비율은 40.1%에서 32.3%로 7.8%p 줄었다.

학생들이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고 디지털기기와 친숙해지며 체육·야외활동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교육부는 저체력 대상 건강체력 교실을 운영하고 학생들의 신체활동을 독려해 학생들의 체력 회복을 도울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