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술사업화 최적화된 실증 테스트베드, 대전서 구현

박진환 기자I 2023.09.13 14:03:17

대전시, 13일 실증 테스트베드 도시 구현계획 발표
2027년까지 761억 투입 관련 플랫폼·실증단지 구축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가 기업의 혁신성장과 신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실증 테스트베드 도시 구현계획’을 13일 발표했다. 테스트베드는 기업이나 연구소에서 개발한 각종 신기술·시제품의 성능 및 효과, 안전성 등을 시험할 수 있는 환경, 시스템 또는 설비를 말한다. 이번 계획은 지역의 우수한 혁신역량과 성과를 지역 경제성장으로 연계하고, 대덕특구와의 실증 협력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전시는 기업과 연구기관이 연구개발(R&D)성과를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는 도시인프라 기반의 테스트베드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실증 지원을 위해 2027년까지 모두 761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실증은 연구개발로 확보된 신기술·제품의 현장 적용과 구현 가능성을 검증·보완하는 과정으로 기술사업화의 핵심적인 단계이다. 신기술·제품이 충분한 실증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어렵고 매출 및 일자리 창출도 기대하기 어렵다.

그간 대전은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대학 등 풍부한 실증인프라를 갖추고 있지만 공간·장비·기술 등 실증자원의 접근성과 연결성이 미흡하고, 기업 맞춤형 실증사업 부족과 실증사업 관리체계 부재 등의 이유로 기업들이 신기술·제품 실증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대전시는 △실증 테스트베드 도시 구현 추진 기반 마련 △쉽고 편리한 실증 인프라 조성 △기업·공공 수요 맞춤형 실증지원 사업 추진 △시민참여 실증문화 조성 및 성과 확산 등 4개 추진전략 12개 실천과제를 제시하고, 도시 인프라에 기반한 실증사업을 종합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실증도시 구현 추진기반 마련을 위해 지난 7월 전담부서인 실증디지털과를 신설했으며, 이달 중 실증 관련 기관들이 참여하는 실증 테스트베드 추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제도 기반 확보를 위한 조례도 제정할 계획이다.

또 쉽고 편리한 실증 인프라 조성을 위해 공공시설과 민간시설의 활용성 높은 자원을 중심으로 200여개의 실증 테스트베드를 내년까지 확보하고, 실증사업과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실증 테스트베드 플랫폼을 구축·운영할 예정이다. 여기에 실증 코디네이터 전문인력 양성과 기업 매칭 지원을 통해 실증 참여 주체간 원활한 협업과 효과적 실증지원을 하는 한편 대덕특구에 축적된 R&D성과의 융복합·산업 활용을 위한 혁신거점으로써 65만㎡ 규모의 융복합 신기술 실증단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번 실증 테스트베드 구현계획을 실현, 2027년까지 220개 중소기업 실증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50개의 중견기업 육성해 3000여개의 신규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선희 대전시 전략사업추진실장은 “대전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출연연, 대학, 연구기관 등 혁신기관이 밀집돼 있어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최적화된 실증 테스트베드 도시”라며 “기업의 지속 성장과 첨단 신기술 확산을 위해 최상의 실증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기술사업화가 필요한 기업이 대전으로 오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