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일본 후쿠시마 방류 대응 어떻게? 우리나라 해양 분석 강화

강민구 기자I 2023.02.28 12:00:00

IAEA 보고서 빠르면 6월 공개
원안위·KINS, 조사지점 34개소에서 40개소로 확대
해수, 해양생물, 해저퇴적물서 방사능 농도 평가
연구인력 20여명 수준으로 인력 추가도 필요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류를 추진하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해양 환경 방사능 분석을 강화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첫 오염수 방사성핵종 분석 결과도 빠르면 6월 말께 나올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달 방출 시설에 대한 일본원자력규제위원회(NRA)의 사용전 검사, IAEA의 보고서 발표 이후로 해양 방류를 예상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김대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박사가 전해농축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리나라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와 방출지점 인근 해양환경의 방사능을 직접 실측분석하는 IAEA 확증 모니터링을 지난해 3월부터 참여해 왔다. IAEA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미국, 프랑스, 스위스 실험실이 참여하는 오염수 분석 결과를 종합 분석해 첫 시료에 대한 결과를 공개한 뒤 2,3차 시료에 대한 결과도 공개할 예정이다.

또 11개국 참여해 오염수 방류 관련 일본의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IAEA 모니터링 TF 관련 포괄적 보고서도 일본 방류 전에 펴낼 예정이다.

감마선에너지스펙트럼을 해석하기 위한 감마선분광시스템.(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우리나라 해양환경방사능 분석 강화

27일에 원자력안전위원회·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주최한 실험실 투어에서 이러한 대내외적 환경 변화 속 KINS 연구진들이 해양환경방사능 분석을 위한 연구와 준비 작업이 한창이었다.

5kg급의 시료를 연구실로 가져와서 수 mg으로 줄이는 작업부터 시료 전처리, 농축, 전기분해, 첨가제에 흡착, 해수 제거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세슘과 같은 위험한 방사성 핵종들을 떼어내고 영향을 평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주변 원근해(연안에서 300km까지)를 중심으로 해수, 해양생물, 해저퇴적물의 방사능 농도를 검사하고 있다. 방사선을 막아줄 수 있는 차폐막을 갖춘 감마선분광시스템도 작동해 옆 컴퓨터의 화면으로 데이터를 표로 만들어낸다.

김대지 KINS 환경방사능평가실장은 “해수부터 해수 기반 해양생물, 해양생물 퇴적물이 쌓여 나타날 수 있는 방사능 조사를 포괄적으로 하고 있다”며 “방사성물질들이 흡착되도록 하고, IAEA 연구에도 참여해 과학적인 검증을 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수전처리 수조에서 첨가제(AMP) 혼합·부유물 등 제거 과정.(사진=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감시지점·예산 일부 늘었지만 20여명 인력으론 한계도

올해 해수 방사능 감시지점은 기존 34개소에서 40개소로 늘어났다. 해양생물을 건조시킨 후 태우고, 채취한 바닷물에서 세슘, 삼중수소, 스트론튬과 같은 감시 핵종만 별도로 구분해 분석할 예정이다. 후쿠시마 오염수가 위협요소로 인식되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예산과 인력은 일부 늘었다.

하지만 KINS에서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에 투입되는 현장직, 비정규직을 포함해 연구인력은 2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환 KINS 비상대책단장은 “코로나19부터 재택근무도 못할 정도로 인력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면서도 “해양 환경방사능 분석을 위해 최선을 다해 후쿠시마 오염수의 영향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국민 건강과 환경을 보호해나가는 데 기여하겠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