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확진자의 딜레마…격리해제 후 검사할까?말까?

김기덕 기자I 2022.02.25 14:03:31

확진자 급증에 서울 재택치료자 사흘째 10만명대
미접종 동거인도 격리 7일…내달 1일부터는 해제
격리기간은 확진 통보 아닌 PCR검사부터 일주일
해제시점 의무검사 없어…“자가검사키트로 검사”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서울 강서구에 사는 양용관(40·가명)씨는 지난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가족 모임을 앞두고 집에서 시험삼아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하다 나온 결과에 적잖이 당황했지만, 3차 접종 완료자여서 자가격리 기간이 7일이라는 얘기를 듣고 안심했다. 격리가 끝나기 이틀 전 담당 공무원에게 전화를 걸어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받고 싶다고 하자 “(짧은 격리기간을 감안하면)검사를 하면 양성이 나올 확률이 높다. 검사를 해서 양성을 받으면 격리기간이 일주일 연장될 수 있으니 잘 판단하라”는 말을 들었다. 내일부터 회사로 출근할 생각을 하던 양씨는 검사를 해야 할지 말아야 말지 고민 중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셀프 재택치료’에 들어간 확진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는 4만여명 안팍의 신규 확진자가 매일 같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격리 후 확진자 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또 확진자를 관리하는 보건소나 동네 병·의원에는 격리기간이 끝나기 전 검사 여부나 외부 활동 가능 여부를 묻는 문의가 폭주해 일상 업무가 불가능할 지경이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서울 지역 재택치료자는 12만1122명으로 첫 12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23일 재택치료자 수는 첫 10만명대를 넘어선 이후 사흘 연속 10만명대를 기록 중이다. 누적 재택치료자도 40만명대를 넘어섰다.

신규확진자수가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증가하자 방역당국도 확진자 관리에 어려움을 먹고 있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가 재택치료자로 분류되는 과정은 ‘의심 증상시 셀프로 자가검사키트 검사 양성→ 보건소 및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최종 양성 판정→ 재택서 셀프 자가치료→ 동네 병·의원 전화 상담 및 처방→ 격리 해제’ 과정을 겪는다. 다만 현재 서울 지역에서 일반관리군 재택치료자가 전화 상담 및 처방받을 수 있는 동네 병·의원 1600여곳 뿐이라 매일 수 만명씩 신규확진자가 쏟아지는 상황을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서울 서대문구에서 병원을 운영하는 한 관계자는 “확진자를 관리하는 동네 의원으로 지정된 후 밀려오는 전화와 상담 요청에 일반 외래환자를 보지 못할 정도로 바쁘다”면서 “현재 인원으로는 더이상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서울 중구 한 이비인후과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와 전화 통화를 통해 비대면 진료를 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DB)
신규확진자 입장에서도 사실상 셀프 치료이다 보니 격리기간 동안 동거인과의 접촉 여부 및 동거인 PCR 검사, 의심 증상 시 대처 사항, 격리 후 검사 방법 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현재 재택치료자는 지난 9일부터 바뀐 지침에 따라 백신 접종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7일 간 격리한다, 재택치료를 받는 확진자 동거인의 경우 미접종자나 접종 미완료자의 경우 격리기간은 7일로 동일(3월 1일부터는 수동감시 체체로 전환)하다. 다만 동거인 중 접종 완료자(백신 완료자 2차 접종 후 14~90일 이내 또는 3차 접종 후 14일 지난 자)는 수동감사 대상이 된다. 즉 가족 중 확진자가 발생한 경우라도 접종 완료자의 경우 회사를 다니는 등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의심 증상이 나타날 시 즉각 검사를 해봐야 한다.

격리기간 역시 헷갈리는 부분이다. 어느 시점을 격리 시작 일로 잡느냐에 따라 전체 격리 기간이 달라질 수 있어서다. 격리 시작일은 방역당국으로부터 확진 통보를 받은 날이 아니라 PCR 검사일 기준이다. 예컨대 지난주 월요일인 이달 14일 PCR 검사를 받고 15일 최종 확진 통보를 받았다면 격리해제 시점은 일요일인 20일 밤 12시까지다.

질병관리청 제공.
그렇다면 격리 해제 시점에 PCR 검사를 또 받아야 할까. 확진자들이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확진자는 백신 접종 유뮤와 상관없이 해제시점에 검사를 받지 않고 바로 외부활동이 가능하다. 다만 백신 미접종 동거인은 격리해제 전 PCR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현재 미접종자 동거인이 검사를 해야하는 기준도 3월 1일부터는 수동감시를 받는 부분으로 바뀌게 된다.

서울 보건소 한 관계자는 “자가격리 기간일 과거와 달리 일주일 정도로 짧아졌기 때문에 민감도가 큰 PCR검사를 하면 바이러스 조각이 일부 남아있기 때문에 양성이 나올수 있다. 전파력은 거의 없기 때문에 검사를 의무화하지 않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확진자 입장에서는 격리해제 검사가 의무는 아니지만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 재검사를 망설이는 경우도 상당하다. 익명을 요구한 한 확진자는 “회사에 복귀하려고 검사를 받으려 했는데 보건소로부터 검사받아 양성이 나오면 일주일을 더 격리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고민 중에 있다”며 “검사 비용도 자부담으로 해야 한다고 해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격리해제 후 일주일 정도는 다중이용시설 방문과 사적 모임을 자제할 것으로 권고한다.

박은철 연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확진자가 격리해제 후 PCR검사를 하면 위양성(음성인데 양성으로 잘못 나온 사례)일 경우가 20~30%는 차지할 수 있어 사실상 검사를 안 하는 것”이라며 “자가검사키트를 이용해 검사를 하고, 가급적 외부활동을 자제하는 편이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757일만에 되찾은 일상

- 다 끝난줄 알았던 코로나…재유행 언제 오나요?[궁즉답] - 확진 7227명…지원금,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만(종합) - 코로나19 재정지원 축소…격리자 생활지원비·유급 휴가비 줄여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