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어쩌나" 폴더블폰 1위 화웨이에 내줬다…5G 신제품 출시 효과

임유경 기자I 2024.06.05 14:32:16

화웨이, 1분기 폴더블폰 시장서 점유율 35% 차지
점유율 23% 삼성, 2위로 밀려
전체 폴더블폰 출하량 310만대…전년比 49% 성장

[이데일리 임유경 기자] 1분기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가 점유율 35%를 차지하며 삼성전자(005930)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 기간 화웨이, 아너, 모토로라 등 중국 제조사들이 폴더블폰에 힘을 주면서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 대비 50% 가까이 늘어났다.

5일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31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49% 성장하며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화웨이 메이트X5(사진=화웨이)
화웨이는 꾸준히 시장 1위를 차지했던 삼성을 제치고 분기별 글로벌 출하량에서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화웨이는 전 세계 폴더블 시장에서 35%의 점유율을 가져갔으며, 삼성은 23%의 점유율로 2위로 밀렸다.

화웨이는 폴더블 스마트폰을 5G로 전환하면서 폴더블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257% 성장을 이끌어냈다. 1년 전만 해도 화웨이의 폴더블 스마트폰은 LTE 기기로만 구성돼 있었다. 그러나 2024년 1분기에 들어 화웨이의 5G 지원 폴더블 기기 비중이 전체 폴더블 기기 출하량의 84%까지 급증했다.

지난해 9월 출시된 화웨이의 첫 5G 지원 북타입 폴더블 스마트폰 메이트X5는 3분기 연속 중국 폴더블 시장에서 베스트셀러를 차지했다. 2024년 3월 화웨이는 최초의 5G 클램셸형 모델 포켓2를 출시하며 1분기 출하량이 크게 상승했다.

삼성은 1분기 폴더블 출하량이 다소 감소했다. 중요 시장인 중국 폴더블 시장에서 화웨이와의 경쟁에서 밀리면서 감소폭이 컸기 때문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박진석 선임연구원은 “각 OEM의 폴더블 출시 시기와 중국 폴더블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할 때, 1사분기 중국 업체의 강세는 예상된 결과였으며 2분기에도 일정 수준 중국업체들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삼성이 신제품으로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의 점유율1위를 탈환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중국 및 해외 시장을 공략하면서 성장세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삼성은 폴더블 시장 내 점유율 확대를 위해 주의 깊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라고 언급했다.

화웨이가 중국 시장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아너와 모토로라는 해외 시장에의 출하량이 상당히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 3%였던 아너의 전 세계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24년 1분기 12%로 급등하며 글로벌 3위에 올랐다. 북타입 모델 중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진 아너의 매직 V2는 2024년 1분기 서유럽에서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1위를 차지하며 중국 외 지역에서의 출하량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마찬가지로 모토로라는 레이저 40(레이저 2023)이 북미 지역에서 출하량 1위를 차지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 11%로 글로벌 4위를 기록했다.

북타입 폴더블 스마트폰이 전세계 폴더블 시장 출하량의 55%를 차지한 것도 올해 1분기들어 생긴 눈에 띄는 변화다, 이는 삼성 갤럭시 Z 플립3 출시로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한 2021년 이후 처음으로 북타입 출하량이 클램셸 타입의 출하량을 넘어선 것이다. 화웨이, 아너, 원플러스, 비보 등 중국 제조사들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북타입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아너와 샤오미 모두 처음으로 클램셸 부문 경쟁에 뛰어들면서 클램셸 시장에서 경쟁도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