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고려대·연세대,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 대학 사업 탈락

신하영 기자I 2021.05.10 12:00:00

교육부 감사서 입학사정관 교육실적 허위 기재 적발
고교 기여 대학 지원사업 중간평가서 감점받아 탈락
올해 예산 560억원 대학 당 평균 7억4000만원 배정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고려대와 연세대가 교육부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 사업’ 중간평가에서 나란히 탈락했다. 사업신청서에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실적을 허위로 기재, 이 부분에서 감점을 받아서다.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사진=이데일리DB)
교육부는 이러한 내용의 2021년 고교교육 기여 대학 사업 중간평가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중간평가에선 사업 선정 75개교를 대상으로 지난해 운영실적과 올해 사업계획, 2020·2023학년도 대입전형계획 등을 평가했다.

해당 사업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 대입전형을 유도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작했다. 올해 예산은 559억으로 대학 당 평균 7억4000만원이 배정된다. 대학은 이를 입학사정관 인건비나 대입전형 개발비 등으로 쓸 수 있다.

교육부 중간평가 결과 지난해 선정된 75개교 중 고려대와 연세대가 탈락했다. 사업신청서에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실적을 허위로 기재한 점이 교육부 감사에서 드러났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두 대학 모두 감사 결과 고교교육 기여대학 사업 신청서에 입학사정관 교육 실적을 허위로 기재한 점이 드러났다”며 “이번 중간평가에서 이런 점이 감점 처리됐다”고 했다.

교육부가 2023학년도 대입에서 ‘수능전형 40% 이상’을 권고한 16개교 중 고대·연대를 제외한 건국대·경희대광운대 등 14개교가 중간평가를 통과, 예산 지원을 계속 받을 수 있게 됐다.

교육부는 이러한 중간평가 결과를 대학에 통보하고 이달 말까지 추가선정 접수를 받는다. 중간평가에서 고대·연대가 탈락함에 따라 수도권 2개 대학을 신규로 선정하기 위해서다. 선정 평가에선 △대입전형의 공정성 △대입전형의 단순화 및 정보공개 △대학의 사회적 책무성 등을 반영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원 대학의 권역별 안배를 고려해 중간평가 결과 지원 중단 대학이 발생한 유형Ⅰ 수도권에 한해 추가 선정평가를 진행한다”고 했다.

고교교육 기여 대학 지원사업 계속 지원 대학 명단(자료: 교육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