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허은아 발의 '함께 일하는 국회법' 본회의 통과

권오석 기자I 2020.12.10 10:36:14

“국회 혁신은 특정 정당의 전유물이 아닌 의원의 본연적 소임"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1호 법안으로 발의한 ‘함께 일하는 국회법(국회법 일부개정안)’이 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대안반영)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로써 1월과 7월을 제외하고는 국회를 상시 개회할 수 있고, 각 상임위 법안소위를 매월 3회 이상 개회하도록 의무화해 ‘일할 수 있는 국회’를 만들기 위한 제도개선이 마련됐다.

(사진=허은아 의원실)
개정안에 따르면, 현행법상 9월 1일부터 100일간 진행되는 정기회와 2·4·6월 및 8월 하반기에 개회하는 임시회에 더해, 3월과 5월도 임시회를 개회토록 했다. 이로써 2월부터 6월 말까지, 8월 16일부터 12월 9일까지는 상시적으로 국회의 안건심사·의결이 추진되며, 필요시 그 외의 기간에도 임시회를 개회해 안건을 처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국회가 폐회 중인 동안에도 활동할 수 있는 법안심사 소위원회의 경우 현행 매월 2회 이상 개회에서 3회 이상 개회토록 해 법안심사를 활성화하고 법안의 소위원회 계류 기간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했다.

허 의원은 지난 6월 5일, 정치에 대한 신뢰회복과 협치를 위해 ‘함께 일하는 국회법’이라는 이름으로 국회법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기존에 논의된 국회 혁신안 중 현실 가능하고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을 발굴했고, 당시 민주당에서 추진하던 ‘일하는 국회법’의 △법사위 체계·자구 심사권 폐지 △패스트트랙 기한 축소 등 독소조항을 배제해 ‘함께 일하는 국회’를 만들고자 했다.

‘함께 일하는 국회법’은 국회운영위원회 심사과정을 거쳐 8개의 국회법 개정안과 병합됐고, 법사위 체계·자구심사를 거쳐 12월 9일 6개월여만에 통과됐다. 이 과정에서 청원특위 설치 조항이 배제되었고, 법안소위 개회일자는 월 4회에서 3회로, 국회 개회시기는 연중 개회에서 1·7월이 빠졌다.

허 의원은 “‘일하는 국회’를 핑계로 민주당이 야당의 견제권을 무력화하려 한 독소조항은 상임위 심사과정에서 배제됐고, ‘함께 일하는 국회’를 만들고자 하는 원안의 취지가 반영됐다”면서 ”청원특위 설치가 불발된 점, 법안소위 개회가 4회에서 3회로 줄어든 점, 국회 의무개회 기간에서 1월과 7월이 빠진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