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광고 요금제 먹히네”… 넷플릭스, 주가 9% 폭등한 이유

유준하 기자I 2023.05.19 15:50:07

광고형 요금제 출시 이후 월간활성이용자 500만명↑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률… 디즈니는 1% 상승

자료=인베스팅닷컴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간밤 넷플릭스가 하루 만에 9% 급등했다. 저가 요금제로 알려진 광고형 요금제의 월간활성사용자(MAU)가 약 500만명이라는 소식에 힘입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지시간으로 1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넷플릭스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9.22% 상승한 371.2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며 강한 반등세를 보였다.

이 같은 상승세에는 최근 글로벌 대형 OTT 업체들의 시장 확장 전략으로 주목 받는 광고형 요금제의 효과가 주요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설명회에서 광고형 요금제 출시 6개월 만에 전세계 월간활성사용자(MAU) 500만명을 기록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연초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앞서 국내에서도 지난해 11월 초 도입된 넷플릭스의 광고형 저가 요금제는 월 5500원으로 이용하는 대신 15초 또는 30초 길이의 광고를 콘텐츠 시작 전과 중간에 시청해야 한다.

이에 국내 사용자들의 과반은 ‘가입하고 싶지 않다’(51%)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해외 글로벌 구독자가 늘어나는 등 유의미한 성과를 거둔 셈이다.

반면 디즈니는 1% 상승에 그쳤다. 디즈니+의 올해 회계연도 기준 2분기 구독자수는 1억5780만명으로 전분기 대비 400만명 감소한 가운데 향후 출시하는 콘텐츠의 개수도 줄인다고 공식화했다. 또한 지난 18일(현지시간)에는 10억 달러 상당의 신사옥 건립 계획을 취소한다는 뉴욕타임스 보도도 나왔다.

현지 외신은 스트리밍 업계가 광고형 서비스로 이동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마켓워치는 최근 “스트리밍 기업들은 광고가 없는 서비스에서 이제 더 적은 콘텐츠와 더불어 광고형 요금제로 움직이고 있다”면서 “소비자보다는 비용에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고 전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