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부 “가뭄에도 댐 저수율 예년 수준…용수공급 문제없어”

김경은 기자I 2022.06.14 12:28:00

다목적댐 20곳 평균 저수율 예년 101%…용수댐 74% 수준
운문댐은 가뭄 ‘심각’ 단계 진입…낙동강물 대체 공급중

가뭄 ‘심각’ 단계로 지난달 31일 기준 경북 청도군 운문댐의 수위가 낮아져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환경부는 14일 최근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율이 예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은 수준이며, 선제적인 댐 관리로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1월 1일부터 6월 13일 오전까지 댐 유역에 내린 강우량은 다목적댐 20곳 유역은 예년의 55%, 용수댐 14곳 유역은 예년의 53%로 나타났다.

저수율을 보면 13일 기준 다목적댐 20곳은 예년의 101%, 용수댐 14곳은 예년의 74%로 예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은 수준이다.

다만 다목적댐인 보령댐은 지난해 8월 16일부터 가뭄 단계가 ‘경계’에 진입했고, 용수댐인 운문댐은 올해 5월 27일부터 ‘심각’에 진입했다. 다목적댐인 횡성댐도 운문댐과 같은 날에 ‘관심’에 돌입했다.

환경부는 가뭄 단계가 ‘관심’ 이상인 이들 댐에 관련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향후 가뭄 상황이 더욱 심해지더라도 생활·공업용수 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대응하고 있다.

환경부는 다목적댐과 용수댐 유역에 비가 부족하게 내려도 용수공급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댐의 용수공급량을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가뭄 단계에 따라 선제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관심’ 단계에서는 수요량만큼만 공급 △‘주의’ 단계에서는 하천유지용수를 최대 100%까지 감량 △‘경계’ 단계에서는 농업용수 실사용량의 20∼30%까지 추가 감량 △‘심각’ 단계에서는 생활·공업용수의 20% 추가 감량 등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지난해 8월 ‘경계’ 단계에 진입한 보령댐의 경우 하천유지용수를 42% 감량해 공급 중이고, 도수로 가동을 통해 금강물을 보령댐으로 공급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보령댐의 가뭄 단계가 ‘심각’까지 격상되지 않음에 따라 생활·공업용수의 감량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뭄 심각단계 진입한 운문댐 저수량
올해 5월 ‘심각’ 단계에 진입한 운문댐은 하천유지용수의 68%를 감량해 공급 중이며, 대구시의 지방상수도와 연계 운영을 통해 댐용수 대신 낙동강물을 대체해 공급하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만약 가뭄이 심화해 댐의 저수량이 더 낮아지더라도 금호강 물을 대체해 공급할 수 있는 비상공급시설(도수로, 비상펌프)을 가동하는 등 추가 대책을 시행하면 생활·공업용수 공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강우 부족이 지속되면 소양강댐·충주댐(한강), 밀양댐(낙동강), 주암댐·수어댐(섬진강), 평림댐(영산강)이 이달 중에 ‘관심’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다목적댐 등으로부터 생활용수를 공급받지 않는 인천 중구·옹진, 경북 봉화 등 도서산간 지역을 대상으로 비상 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강우 부족 시 지하수, 계곡수 등의 수원 부족 문제가 상습적으로 발생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