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금감원, IPO 깐깐하게 본다…정정사례 30건 공개

김보겸 기자I 2024.01.22 12:00:40

내달 증권사와 간담회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금융감독원이 기업공개(IPO) 관련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

금감원은 22일 기업공개(IPO) 시 재무정보 공시방안 및 투자계약증권 신고서 제출 등 최근 심사현안을 반영해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안내서’ 개정본과 ‘2023년 증권신고서 정정요구 사례’를 발표했다.

금융감독원.(사진=금융감독원)


구체적으로는 작년 발표한 IPO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했다. 대여금 회수 가능성과 최대주주 변경 및 낮은 지분율 위험 등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할 내용을 명확화했다. 또 기재보완 등과 관련한 세부 운영기준을 마련했다. 투자자(공시이용자) 가독성도 제고했다.

작년 중 최초 발행이 이루어진 투자계약증권과 관련해선 그간 심사사례를 감안해 위험 항목별(사업·회사·기타) 기재 요령을 추가하는 등 기업의 증권신고서 작성 효율성을 제고했다.

기초자산 매입·평가 등 절차상 이해상충 위험을 기재하도록 했다. 또 청약·배정·납입 방법 및 계좌서비스 기관 역할·범위와 투자자 부담 수수료범위를 명확하게 하게 했다.

아울러 작년 주요 정정요구 사례 30건을 선별하고 공개했다. 신사업 미영위 사유 및 향후 추진계획과 지배구조 불확실성 관련 위험을 보완하도록 한 건이 이에 해당한다. 기업이 최근 심사방향을 적극 참고해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는 한편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가 적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금감원은 투자계약증권 정정요구 사례를 11건 포함해 생소한 신종증권 증권신고서 작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내달 금감원은 증권사와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금감원은 “향후 정기적 주관사 간담회 등을 통해 시장소통을 활성화 하고 투자자 보호 원칙 하에 심사 업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기 전락한 IPO 시장

- [IPO출사표]삼현 "모션컨트롤 선도할 것…해외 진출 본격화" - IPO 흥행 주춤?…갈곳 없는 자금에 열기 이어진다 - "기업가치 모르겠고 '따따블' 노립니다"…'한탕' 온상된 공모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