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시, 싱크홀 걱정 없게 지하 점검 10배 확대

신수정 기자I 2023.12.20 13:30:00

전담·인력, 장비 2배 확충…정기점검 연 2200㎞로 강화
지하시설물의 통합·체계적 관리 추진…통합 시스템 구축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서울시가 지반침하 예방 대책을 마련하고 지반침하 최소화에 나선다. 해빙기와 우기를 전후한 지하 공동 특별점검을 확대하고, 전담인력과 장비도 2배가량 확충한다. 아울러 복잡한 지하시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통합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굴착공사장의 안전관리도 강화해 땅꺼짐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도로 공동 탐사장비 차량형 멀티GPR. (사진=서울시)
시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10년 동안 서울 전역 1만 8280㎞에 대한 공동(空洞) 전수조사를 시행했고, 6394개의 공동을 발견해 복구했다. 지난해까지 시도(市道) 전 구간에 대한 전수조사를 2회 완료했고, 2023년부터는 3회차 전수조사에 돌입했다.

최근 10년간 공동조사 연장은 60배 확대됐고, 조사연장 1㎞당 공동발견율은 0.61개에서 0.23개로 크게 줄었다. 연 최대 57건(2016년) 발생했던 땅꺼짐은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통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올해는 22건으로 61% 감소하기도 했다.

먼저 시는 해빙기와 우기를 전후해 지반침하 우려 구간에 대해 실시하는 ‘특별점검’을 지금보다 10배 강화해 땅꺼짐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 2018년부터 연평균 250㎞를 점검하던 것을 올해 500㎞로 확대한 데 이어, 내년에는 지금보다 10배 강화된 5000㎞에 대해 특별점검한다. 강화된 특별점검을 추진하기 위해 전담인력과 장비도 크게 확충한다. 탐사를 전담하는 시 전문인력을 3명에서 6명으로 2배 증원하고, 차량형 GPR 조사장비는 3대에서 5대로 늘린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5개 조가 주당 100㎞를 특별점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2개 조가 주당 40㎞를 점검했던 것에 비해 2.5배 가량 늘어난 목표치다.

연차별로 추진하는 ‘정기점검’은 매년 2,200㎞의 보·차도에 대해 실시하도록 강화했다. 올해부터 시작된 3회차 전수조사(2023~2027년)부터 보도구간도 조사에 포함시켰다. 기존 차도(6863㎞)에 대해서만 실시하던 공동 조사를 보도(4093㎞)까지 확장해 총 10,956㎞의 보·차도에 대한 연차별 정기점검을 추진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자치구에서 관리하는 구도(區道)에 대한 특별점검도 연간 1852㎞에 대해 추진된다. 내년부터 자치구 집중관리대상 468개소 617.2㎞에 대해 연 3회 반복 조사를 실시해 골목골목의 지반침하를 예방한다.

관리주체가 복잡하고 다양한 지하시설물을 통합·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도 구축해 활용한다. 관리 사각지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땅꺼짐을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한 원인 규명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지하안전부서의 업무를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지하안전관리시스템’을 1단계로 구축해 올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는 시스템을 고도화해 지반침하 조사구간을 과학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2단계로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 전역에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하 안전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가칭)‘서울시 지반침하 관측망’을 2029년까지 구축해 운영할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시는 각종 공사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굴착공사장 안전관리 강화’에도 나섰다. 우선 굴착공사장의 지하안전평가 이행여부 점검을 대폭 강화했다. 기존에 지하 10m 이상 굴착공사장에 대해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를 10개소에 한해 표본점검 하던 것을 올해부터 전수(200~300개소) 점검하는 것으로 개선해 지하 공사장의 안전관리를 강화한 것이다. 공공 주도 공사장의 지반침하 사고예방을 위한 특별 조치도 시행하고 있다. 서울시 지하 10m 이상 모든 공공 공사장은 굴착 단계별(전·중·후)로 공동 조사를 시행토록 해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한다.

최진석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땅속의 빈 공간 공동은 지반침하를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신속한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지반침하 위험지도를 활용한 지하 공동 조사 등 사전 예방 활동을 더욱 강화해 언제 어디서나 안전한 서울의 도로를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