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I 도입, 전문직 늘리고 중간숙련 줄여…청년일자리 관심 필요"

이지은 기자I 2024.03.05 11:22:45

KDI-한은 세미나…'AI가 노동시장 미치는 영향'
"총량적 영향 작지만…연령·학령·직업별 차이 커"
"시장 유연성 제고해야…사회 안정망 강화 필요"
세대 간 고용 대체 가능성 분석…중고령층 주목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전문직 수요를 증가시키고 청년층과 전문대졸 이상의 중산숙련 수요는 감소시킨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노동 시장 총량에서는 큰 영향이 없으나 노동시장 구성에서 상당한 변화가 초래되는 만큼 청년일자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대응 방안’을 주제로 ‘한국은행-한국개발연구원(KDI) 노동시장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조동철 KDI 원장(왼쪽)이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노동시장연구팀장은 5일 ‘노동시장 세미나-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KDI와 한국은행이 공동 개최한 노동시장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인공지능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발제했다.

한 팀장은 “인공지능 기술은 높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면서도 “대규모 기업에서 기술 도입이 활발하므로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된 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근로자의 비중은 상당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 기술 도입 및 영향률 확대는 총량적으로는 노동시장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지만, 전문직 수요는 증가시키고 청년층 및 전문대졸 이상 중심으로 중간숙련 수요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기업 단위 패널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 도입 전후로 기업 단위 고용이나 1인당 인건비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지역 노동시장 단위의 분석에서도 인공지능 영향률에 따른 고용이나 임금의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연령대별·학력별·직업별로는 큰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팀장은 “연령대별로 남성은 15~29세 고용 감소 및 30~44세 임금 감소, 여성은 15~29세 고용과 임금 감소가 관찰된다”며 “최종학력별로는 남성은 전문대졸 이상에서 고용 또는 임금 감소, 여성은 전문대졸 이상에서 임금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또 “남녀 모두 전문직 고용은 증가했으나 단순노무·서비스직 고용은 감소했고, 남성 서비스·판매직과 여성 서비스·사무직 등 중간숙련직의 임금도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이런 방향의 변화가 향후 빨라진다면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와 사회 안정망 강화, 청년일자리 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팀장은 “재직자 직무구성이나 근로조건의 변경이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며 “인력 측면의 높은 경직성은 필요 이상의 자동화와 과도한 신규채용 축소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균형있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축소, 구직급여 보장성 강화 및 내실화, AI기반 고용서비스를 고도화해야 할 것”이라며 “수요자 중심의 유연한 교육체계로의 개편과 함께 재직자 직업훈련의 질적 제고를 위한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생산가능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고령층의 경제활동 확대가 청년층 인구 감소 영향을 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분석도 이뤄졌다.

‘인구구조 변화와 중장년층 인력 활용’을 발제한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은 “실업 시점의 연령이 높을수록 기존 일자리와 직무 구성이 서로 다른 일자리로 재취업하는 경향이 있다”며 “50세 미만 연령대에서 실직한 경우 분석·사회 직무 비중에 유의한 변화가 없는 반면, 50세 이상 연령대에서 실직한 경우 해당 직무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시장에서 고령층과 청년층이 서로 매우 다른 직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분석·사회 직무 비중이 높은 일자리에서 고령층이 청년층을 대체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속적인 재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직무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한편, 중고령층 고용을 억제하는 제도적 요인들을 완화할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