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김연철 "남북 고위급회담 열어야 될 국면.시기·의제 검토 중"

이승현 기자I 2019.07.19 11:30:25

18일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출연
"북미 실무협상 시간 걸릴 듯..한미군사훈련은 北의 오해"

김연철 통일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18일 “지금은 남북 고위급회담을 열어야 될 국면”이라며 “고위급회담의 의제나 또 언제쯤 열릴 것인지 그런 부분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저녁 CBS라디오 ‘시사자키 정광용입니다’에 출연해 “남북관계가 소강국면이다. 그러다보니 한 현안뿐 아니고 전반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를 하기 어려운 그런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북쪽에 제안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는 “회담이라는 게 성사될 때 제안을 해야 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부분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북미간 실무협상에 대해 “실무접촉을 조율해가는 과정에서 생각보다는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며 “지금은 물밑에서 조율하는 단계라기보다는 자신의 요구사항을 분명하게 표현하고 또 상대방의 양보를 촉구하는 그런 측면들도 있다.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종합적으로 우리가 보면서 전망을 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북한이 한미 군사훈련 문제를 제기하며 실무협상과 연계하겠다는 한 것에 대해서는 “북한이 일종의 안전보장 차원에서 군사훈련에 대한 원칙적인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사실은 이번 훈련이라는 게 기동훈련이 아니고 일종의 지휘소 훈련이고, 야외훈련이 아니고 실내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서 북한의 오해도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북미 정상이 만난 판문점 회동에 대해 “대통령께서도 사실상의 냉전관계 종식이다, 이렇게 표현을 했는데 우리가 통상적으로 사실상 이런 표현을 쓰는 것은 그런 것이나 다름없다는 뜻”이라며 “물론 이제 법적인 냉전관계, 적대관계를 종식하기 위해 지금부터 노력해야 될 부분들이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

또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신청이 어렵게 허가된 것에 대해선 “개성공단 기업인들 입장에서는 자기 자산이 잘 있는지 확인해야 될 권리가 있다”며 “그런 차원에서 자산 점검을 위한 방북에 대해 허가한 것이다. 가능하면 그런 부분들이 조기에 성사될 수 있도록 계속 북한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WFP(세계식량계획)를 통한 북한의 식량지원 상황에 대해 “국제기구를 통해 하다 보니 시간이 좀 많이 걸린다. 업무협약을 우리하고 WFP하고 맺고 또 WFP는 북한하고 상의하다 보니 그렇다”며 “인도적 지원은 제재에 해당되지 않지만 수송 문제라든가 기타등등은 포괄적인 제재단계를 밟아야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래는 1항차(첫배가 떠나는 것)를 7월 중에 시작해서 9월까지는 마칠 예정인데, 조금씩 늦어져서 가능하면 9월 중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