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물가 둔화·위안화 강세 연동…환율, 장중 1370원 중반대로 급락[외환분석]

이정윤 기자I 2024.06.03 12:14:12

장중 10원 가까이 내린 1374.5원
美4월 PCE 물가 예상치 부합…달러 소폭 약세
中5월 제조업 PMI 예상치 상회, 위안화 강세
외국인 투자자 국내 증시서 2200억원대 순매수
이번주 ECB 회의·미 고용 발표…“환율 변동성 장세”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원·달러 환율이 장중 1370원 중반대로 하락했다. 미국의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둔화가 확인되고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환율이 추가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사진=AFP
달러 약세+위안화 강세

3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이날 환율은 오후 12시 8분 기준 전 거래일 종가(1384.5원)보다 9.5원 내린 1375.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을 반영해 전 거래일 종가보다 2.5원 내린 1382.0원에 개장했다. 오전 10시께 환율은 1380원선을 하회했고 이후에도 하락 폭을 확대하며 1374.5원까지 내려갔다.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주춤하면서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내며 환율은 하락 출발했다. 지난 4월 미국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2% 상승, 전년동월대비 2.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대비 상승폭은 직전월 0.3% 상승보다 약간 둔화됐고, 전년대비 상승폭은 직전월 수준과 같았다. 근원 PCE 가격지수의 월간 상승률은 올해 들어 가장 낮았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모두 포함한 4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 전년대비 2.7% 올랐다. 이는 직전월 수치와 같았고, 시장 예상치에도 부합했다.

이에 달러화는 소폭 약세다. 달러인덱스는 2일(현지시간) 저녁 11시 9분 기준 104.57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주 장 마감 기준 104 후반대에서 중반대로 하락한 것이다.

이날 장중 중국은 5월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1.7이라고 발표했다. 전월(51.4)보다 높고 예상치(51.6)를 상회했다. 이에 위안화는 강세를 나타내며 원화도 동조하는 흐름이다. 달러·위안 환율은 7.25위안대, 달러·엔 환율은 157엔대로 모두 하락세다.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서 순매수하며 환율 하락을 지지하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1800억원대, 코스닥 시장에서 400억원대를 사들이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4거래일 만에 매수세로 전환됐다.

국내은행 딜러는 “PCE 발표하면서 달러 약세로 환율이 빠졌고, 중국 제조업 지표가 잘나오자 위안화 강세에 연동됐다”며 “아직 외국인 순매수 규모가 크지 않아서 외환시장에 영향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오후 ‘방향성 모호’…이번주 이벤트 주간

PCE 물가가 예상치에 부합한 수준으로 나온 만큼 달러화와 환율도 뚜렷한 방향성을 나타내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번주는 유럽, 캐나다의 통화정책 회의 등 굵직한 이벤트가 많은 만큼 환율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은행 딜러는 “PCE 물가가 안정적으로 나오면서 향후 통화정책 방향성도 엇갈리는 것 같다”며 “이에 이번주 환율도 보합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개최되는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기준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가운데 회의 이후 유로화 흐름은 달러화 지수 추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또한 5월 고용지표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인하 불씨를 더욱 강하게 지필지 여부를 결정하는 분수령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환율은 대외 이벤트 결과에 따른 변동성 장세가 예상되는 가운데 지난주 나홀로 원화 약세 현상을 촉발한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매매 추이도 이번 한주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