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전시, 청년 취·창업 등 일자리 문제 해결 나선다

박진환 기자I 2017.09.01 11:14:06

노동청·중기청 등 유관기관들과 '청년취업지원협의회'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 등 관련 정책 문제점·개선안 논의

1일 대전시청사에서 대전시와 5개 자치구 일자리담당, 대전지방고용노동청, 대전·충남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대전시교육청, 경제단체 및 각 대학 취업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취업지원협의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가 지역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선다.

대전시는 문재인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에 맞춰 청년들의 취·창업 등을 지원키로 하고, 1일 ‘청년취업지원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대전시와 5개 자치구 일자리담당, 대전지방고용노동청, 대전·충남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대전시교육청, 경제단체 및 각 대학 취업센터 등 유관기관 관계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중요 안건으로는 △대전 일자리종합박람회 대기업 및 공사·공단 등 참여방안 △4차 산업혁명시대 맞춤형 인재양성·연결시스템 마련 △중소기업 청년 추가고용장려금(2+1) △청년내일채움공제 △기관별 청년취·창업 정책 개선방안 △유관기관 협력사업 등 일자리 창출 사업성과 및 문제점을 토론하고, 정보를 교환했다.

안영일 대전고용노동청 취업지원팀장은 “고용노동부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이 청년 3명을 정규직으로 채용 시 1명분의 임금 전액을 연간 2000만원 한도로 3년간 지원하는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 취업성공패키지 등 다양한 청년고용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며 기업과 취업을 원하는 청년들에게 많은 홍보를 당부했다.

이에 대해 한선희 대전시 과학경제국장은 “그간 다양한 청년 취·창업 정책을 추진했지만 일자리의 미스매치 현상이 해소가 되지 않고 있다”면서 “기업이 원하는 교육을 대학 정규과정으로 개설·운영해 졸업과 동시에 취업 될 수 있도록 AI기반의 4차 산업혁명시대 맞춤형 인재양성·연결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