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JP 훈장 논란 계속…이정미 "정부, 추서계획 중단하길"

유태환 기자I 2018.06.25 10:28:24

25일 상무위원회의서 발언
"공적이 지난 과오 덮을 수 있을지 납득 어려워"

24일 오후 고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문재인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조화가 세워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유태환 기자] 고(故) 김종필 전(前) 총리에 대한 훈장추서 논란이 서거 사흘째인 25일에도 계속되는 양상이다. 앞서 정부가 김 전 총리에게 국민훈장 중 1등급인 무궁화장 추서 방침을 밝힌 가운데, 일각에서는 “5.16 군사 쿠데타에 동참한 그에게 적절치 않은 처사”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상무위원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훈장은 국가에 뚜렷한 공적을 남긴 이에게 수여하는 것”이라며 “이후 인생의 어떤 공적이 지난 과오를 덮을 수 있을 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정치계 원로인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께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할 것. 개인의 삶과 죽음에 대해 함부로 말할 수 없고, 떠나는 이에 대한 예는 다해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역사적 평가는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5.16 쿠데타는 갓 싹을 틔웠던 대한민국 민주헌정을 전복한 역사”라며 “그로 인해 지난 수십 년 우리 정치사는 불운의 굴곡을 겪었으며, 국민들께는 쉽게 치유될 수 없는 고통을 안겼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유신체제에 항거했던 이들의 명예회복도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정부는 훈장추서가 자칫 군사쿠데타와 유신체제라는 과거 역사에 면죄부가 될 것이라는 우려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역사는 쉽게 지울 수도, 지우려 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라며 “정부의 이번 훈장추서 계획을 중단하기를 요청 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전날 김 전 총리 빈소가 마련된 서울 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훈장 무궁화장으로 결정했다”며 “전직 총리시기 때문에 총리실 중심으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종필 전 국무총리 별세

- JP 오늘 영결식…부여 가족 묘원 부인 곁으로 - 박찬종 "文대통령의 운명, 김종필에서 시작"..정작 두 사람은 다른 길 - [목멱칼럼]김종필 전 총리를 보내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