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오염수 가짜뉴스’ 대응…"한미일 정상회담 의제 오를수도"

김영은 기자I 2023.07.31 14:04:06

30일 산케이신문 “日정부, 中가짜뉴스 대응 나서”
한미일, 아세안 회담서 ‘허위정보 협력방안’ 논의
中·홍콩 "오염수 방류시 日수산물 수입 금지 확대"
기시다, 한미일 정상회담후 8월 말 방류 결정 전망

[이데일리 김영은 기자]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관련 가짜뉴스 대응이 오는 8월 한·미·일 정상회담 의제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미일 정상들이 다음 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첫 3자 회담을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5월 21일 일본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인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산케이신문은 30일(현지시간) 일본 외무성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중국발 가짜뉴스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한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오는 8월 미국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도 중국 관련 의제 중 하나로 가짜뉴스 대응이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외무성 관계자 한 명도 이날 “(가짜뉴스를 퍼뜨리려는) 중국의 움직임에 따라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허위정보에 대해 논의할 가능성이 있다”며 “선진국,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현재 허위 정보에 대해 (바로잡아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한다”고 산케이신문에 말했다.

산케이는 중국이 ‘오염수 방출’을 일본을 비판하기 위한 외교적 수단으로 악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난 11일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도 “중국의 외교 담당 최고 책임자인 왕이 공산당 정치국원(현 외교부장)이 독자적인 주장을 펼쳤다”고 지적했다. 당시 왕이 부장은 “핵오염수 (해양) 배출은 해양 환경과 인류의 생명·건강에 관한 중요한 문제”라며 “원자력 사고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고 공통적으로 인정되는 기준도 없다”고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산케이는 또 아세안+3 개최 당시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이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박진 한국 외교부 장관과 만나 오염수 관련 허위정보 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무 차원에서도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장호진 한국 외교부 제1차관, 웬디 셔면 미 국무부 차관과 같은 주제로 전화통화를 가졌다고 덧붙였다.

이후 오노 히카리코 일본 외무성 외무보도관은 지난 26일 국제 회의에서 오염수를 ‘핵 오염수’라고 표현한 중국을 겨냥해 “미국,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악의적인 허위정보 확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일본 정부의 움직임은 수산물 수출이 급감할 것이란 전망과 무관하지 않다. 중국과 홍콩은 오염수 방류시 후쿠시마 등 일본 10개 현의 수산물 수입을 중단하고, 다른 지역의 수산물 검역도 강화겠다고 예고했다. 중국과 홍콩은 일본 수산물 수입 1·2위 국가다. 산케이는 중국의 선전이 효력을 발휘하면 화교권을 중심으로 일본산 식품에 대한 불신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태평양 도서국에서도 유력 매체에 중국의 담론에 영향을 받은 듯한 기사가 실린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올 여름 안에 오염수를 40배의 바닷물로 희석해 삼중수소 농도를 40분의 1인 1500㏃(베크렐)까지 낮춘 뒤 해양에 방류하겠다는 계획이다. 방류 개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일본 언론들은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한·미·일 정상회담 이후인 8월 말에 일정이 비어 있다면서 이 때 방류를 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 오염수 방류 일주일, 수산물 가격은 어떨까[바다이야기] - 尹, 연이은 '수산물 오찬'…오염수 우려 '정면돌파'[통실호외] - 정부 "日오염수 방류, 우리 국민에 위해 있다면 IMO서 문제제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