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도의 MD 체계는 미 본토 뿐 아니라 일본이나 인도-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미군 기지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반도가 북한 위협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러시아 등에 대한 미국의 전지구적 탄도 미사일 방어 계획의 전초기지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에 따라 MD 편입은 그간 논란이 돼 왔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당시 반대 논리 중 하나가 MD 편입이었다.
|
◇“한미일 안보협력, 군사동맹 가능성”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 모임(더민초)은 3일 윤석열 정부 1년 평가 연속 토론회의 첫 번째로 외교·안보·국방 분야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전 국립외교원장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외교정책 진단’ 주제발표를 통해 “한미일 정상의 프놈펜 선언과 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 합의는 미국의 지역 MD 구축이라는 숙원과 일본의 숙원을 해소하는 것”이라며 “일본의 반격 능력 확보와 한미일 통합 미사일 방어체계 구축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지난해 11월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위협에 대한 각국의 탐지능력 향상을 위해 북한 미사일 경보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북한이 발사하는 미사일의 예상 발사지점과 비행방향, 탄착지점 등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조기에 획득해 대응태세를 향상시키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는 이행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
또 김 교수는 한미일 안보협력은 군사동맹으로 가는 시발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이 아니라 단지 북한을 상대하는 목적이라면 한미 연합군의 전력만으로도 이미 차고 넘친다는 게 객관적 수치로도 입증된다”면서 “안보협력의 경계선이 희미해지는 동시에 확대된다면 실제적인 동맹으로 진행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부인해도 주변국의 인정 여부 역시 미지수”라며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남북의 긴장 수위가 높아지면 합동훈련을 넘어 군수지원협정과 MD 구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 선언, 확장억제 아닌 확장위기”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역시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에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한미일 파트너십에 대한 프놈펜 성명은 대북억제를 명분으로 대중 견제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는 한반도와 지역 평화에 역행하고 일본의 군사 대국화를 용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한미일 군사협력 가속화는 글로벌 전략동맹에 따라 작계 5015 개정을 해야 하고, 이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이 영원히 불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미일방위협력지침 개정, 한미일 핵협력그룹, 상호군수지원협정을 추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그는 “미국 핵 작전에 대한 한국의 재래식 군사력 지원과 연합방위태세에 한국의 모든 역량을 기여하는 것”이라며 “MD체제로의 정식 편입과 한미일 군사협력 강화로 대중 통합 억제력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에 이어 오는 7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후 19~2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G7(주요 7개국) 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