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서 합격점…안전한 먹는물 입증

이연호 기자I 2024.05.23 12:00:00

국립환경과학원,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 공개
검출된 76종 중 국내외 먹는물 기준 있는 17종은 기준치 아래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수질오염사고 취약 구간인 낙동강 상수원에서 취수하는 먹는물이 안전성 검사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지난달 2일 오후 경남 창녕군 남지읍 창녕 낙동강변 유채꽃 단지가 노랗게 물들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낙동강 상수원의 먹는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경북 칠곡군 소재 왜관수질측정센터에서 수행한 ‘2023년 낙동강 미량오염물질 조사’ 결과를 23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미량오염물질 중에서 지난 2022년 이전 조사에서 주로 검출된 물질과, 국외에서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를 위한 후보물질 114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낙동강 왜관 지점에서 주 2회, 상하류 기타 지점(강정, 남지, 물금)에서 지난해 한 해 동안 월 1회씩 측정했다. 조사 결과, 낙동강 전체 조사 지점에서 조사 대상 114종 중에 76종(산업용 29종, 농약류 32종, 의약물질 15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검출된 76종 중에 국내외 기준이 있는 17종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기준이 없는 나머지 59종은 국외 검출 농도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지점별로는 왜관(경북 칠곡군, 제2왜관교) 지점에서 74종이 검출됐으며, 강정(경북 구미시, 숭선대교), 남지(경남 함안군, 남지교), 물금(경남 양산시) 등 기타 조사 지점에서는 각각 64종, 67종, 68종의 물질이 검출됐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부터는 낙동강 하류 지역의 매리수질측정센터(경남 김해시 소재)와 왜관수질측정센터를 연계 운영함으로써 낙동강 전 구간의 미량오염물질을 촘촘히 감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