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헬기장 보유·외부와 격리…대통령 집무실 '급부상'

김관용 기자I 2022.03.15 11:25:10

당초 검토했던 광화문 서울청사, 보안 취약
경호 문제 해결할 수 있는 용산 국방부 청사 대안
지하벙커, 헬기장, 의전공간 등 갖춰져 있어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인 청와대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가 이전 대상지로 떠오르고 있다.

당초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에 두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통령 경호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이미 외부와 차단돼 있는 국방부 청사가 대안으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국방부에는 지하 벙커도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유사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2대의 헬기가 동시에 이·착륙할 수 있는 헬기장도 갖추고 있다. 의전을 위한 영빈관 역할은 국방컨벤션을 활용하면 된다.

게다가 용산 미군기지 부지가 공원으로 바뀔 예정이기 때문에, 국민과 가까운 곳에서 일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의지를 표현하는데 국방부 청사가 적임지라는 분석이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정문 전경 (사진=연합뉴스)
현재 국방부 영내에는 국방부 청사 뿐만 아니라 구청사와 합동참모본부, 합동전쟁수행모의본부(JWSC), 국방부근무지원단, 국방시설본부, 국방부 의장대대 및 정보통신대대, 국방부검찰단 및 군사법원, 국방조사본부, 국방컨벤션 등의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 여기에 국방홍보원 건물을 신축하고 있으며, 육군회관은 현재 계룡대 이전으로 곧 공실이 될 예정이다.

국방부 영내 건물과 부지가 상당한 만큼, 국방부는 이전하지 않고 공간 재배치와 리모델링 등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청사가 대통령 집무실이 될 경우 출·퇴근 동선을 고려할 때 관저는 삼청동 총리공관 보다는 용산구 한남동의 외교·국방 장관 공관이나 육군참모총장 공관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들 공관은 현재 국방부근무지원단 예하 군사경찰대대가 경호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