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I가 성장동력” 텐센트·넷이즈 등 中 인터넷기업 실적 훨훨

이명철 기자I 2024.03.22 12:12:13

텐센트 작년 매출 10% 증가, 넷이즈 순익은 7%↑
中 관영 매체 “R&D 적극적, AI 통한 성장 강조해”
민간 기업 성장 위한 세금·수수료 인하 지원 제언도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 인터넷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개선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중국 기술기업에 대한 미국의 압박에서도 자체 연구개발(R&D) 강화를 통해 기술력을 강화한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선전시에 위치한 텐센트 건물 앞에 로고가 설치돼있다. (사진=AFP)


22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글로벌타임스·GT)에 따르면 중국 기업인 텐센트 홀딩스는 지난해 매출이 6090억위안(약 112조5000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0%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중국 기업인 넷이즈도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대비 7.3% 늘어난 1035억위안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징둥닷컴, 바이두, 콰이쇼우 등 다른 인터넷 기업들도 지난해 예상보다 나은 실적을 달성했다.

주요 인터넷 기업들의 실절 발표와 재무 보고서를 보면 대부분 인공지능(AI)을 통한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마화텅 텐센트 회장은 20일 실적 발표에서 지난해 회사가 이룬 획기적인 성과를 강조했다. 그는 “회사의 대규모 언어 AI 모델인 후위안이 수치 추론, 논리적 추론, 다중 대화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최고 수준의 기초 모델로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넷이즈는 지난해 R&D 투자액이 165억위안에 달할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베이징의 기술 분석가인 류 딩딩은 GT에 “인터넷 기업이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I에 대한 R&D 투자를 가속화하고 AI 기술을 자체 비즈니스와 통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서방측에서는 중국이 인터넷 기업을 규제하고 있다고 지적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중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은 후 다시 회복 궤도에 올라왔다고 GT는 주장했다.

베이징 사회과학원의 왕 펑 부연구위원 “중국은 오랫동안 민간 부문을 매우 중요시해왔고 성장을 안정시키고 구조조정과 혁신을 장려했다”며 “정책 입안자들은 민간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비즈니스 환경을 최적화하면서 금융 지원을 늘려 민간 기업의 발전에 더 유리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중국은 그동안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의 구속과 알리바바 등 인터넷 기업에 대한 고강도 조사 등으로 기업 성장을 제약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 미국에서는 중국 기술기업에 대한 수출·투자를 제한하면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중국 기술기업에 대한 정부의 조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R&D 투자가 늘면서 이들 기업의 실적 또한 개선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민간 부문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세금·수수료 인하 같은 정책 지원과 비즈니스 환경 최적화. 금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GT는 자본시장 관계자 말을 인용해 “중국 금융 규제 당국은 자본 시장을 개선하고 중소 민간 기업에 직접 자금 조달 채널을 제공해야 한다”며 “상업은행, 보험사, 증권사를 포함한 금융 기관이 공동으로 자금 조달 위험을 감수하도록 시장 매커니즘을 개선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