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단독]신라젠 BAL0891, MSD와 공동개발 계약 임박

송영두 기자I 2024.06.12 12:46:48
[이데일리 송영두 기자] 신라젠이 미국 머크(MSD)와 BAL0891과 키트루다 병용 임상 계약 체결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동임상이 추진되면 ‘BAL0891’의 상용화 가속도는 물론 임상 비용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신라젠(215600)이 개발 중인 항암제 BAL0891과 관련해 머크의 면역관문억제제인 ‘키트루다’를 무상으로 지원받는 계약을 앞둔 것으로 보인다. 지난주에 폐막한 바이오USA에서도 양사 관계자들은 원칙적으로 공동개발에 합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공동 임상은 삼중음성유방암과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BAL0891과 키트루다 병용 요법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으로 진행한다.

임상은 MSD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신라젠은 임상 진행에 소요되는 비용을 상당수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면역항암제와 병용 임상 비용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면역항암제 구입 비용이기 때문이다.

MSD가 관심을 보인 BAL0891은 신라젠이 지난 2022년 거래재개를 위해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로부터 도입한 항암물질이다.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TTK와 PLK1 두 효소를 동시에 억제하는 기전이며 이는 세계 최초 기술이다. 당시 파이프라인 도입 계약 규모는 계약금 1400만 달러, 마일스톤 약 3억2100만 달러 등 총 3억3500만 달러다.

앞서 신라젠은 유상증자로 조달할 1300억원 중 약 573억원을 BAL0891 개발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면역항암제와의 병용 임상 비용은 3년간 85억에 불과해 의문점을 자아냈다. 즉 신라젠은 이미 BAL0891 기술력에 근거해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무상으로 약물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예상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신라젠은 MSD 측으로부터 BAL0891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글로벌 제약사가 의약품을 무상공급하는 것은 잠재적인 파트너십 또는 중요한 파이프라인으로 판단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제약사는 자사의 면역항암제를 공급하면서 임상에 성공할 시 파이프라인의 우선권을 확보할 수 있다. 리제네론의 ‘펙사벡’ 우선 협상권도 같은 논리이다.

업계에서는 머크와의 BAL0891 병용 임상이 긍정적인 결과로 도출될 경우 라이선스 아웃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BAL0891은 고형암은 물론 혈액암 등 다양한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고형암과 혈액암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로슈의 아바스틴(Avastin)과 같은 광범위한 치료제 전략이 글로벌 제약사에 어필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최근 해외 주요 학회에서 BAL0891의 높은 가능성이 소개되며 여러 글로벌 제약사의 러브콜이 있었다“라며 ”특정 제약사를 확인해 주기 어려우나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