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미국흰불나방 잡아라”…산림병해충 예보 ‘경계’로 상향

박진환 기자I 2023.08.22 13:47:56

산림청 “경기·충북·경북·전북 등에 밀도 증가…적기 방제”

미국흰불나방 유충에 의해 피해를 입은 수목.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산림청은 경기와 충북, 경북, 전북 등에 미국흰불나방의 밀도 증가가 확인됨에 따라 피해 발생 공유 및 적기 방제를 당부했다고 22일 밝혔다. 미국흰불나방은 주로 도심의 가로수, 조경수와 농경지 과수목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1958년 북미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1년에 2회 발생하며, 여름철에 벚나무, 포플러 등 다양한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데, 피해가 극심한 경우 나무가 죽기도 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박사는 “이 해충은 2019년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였지만 고온 다습한 날씨가 지속되는 등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유충의 생존과 활동량이 증가하고, 2화기(2세대) 성충 발생 시기도 지난해보다 빨라져 예년의 통상적인 수준보다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16일자로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산림병해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했다. 산림청은 병해충 예찰방제단 1500명을 동원하고, 생활권 수목 진료 기관인 나무병원과 협력해 유충 활동기인 9월까지 가로수, 공원 등을 중심으로 집중 방제하기로 했다. 이종수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지자체와 소속기관은 피해 발생 상황을 공유하고, 발생 상황과 피해 확산 우려, 유충 활동기와 월동 시기에 맞춘 적기 방제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