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배추·무값 안정 되찾나…정부 “추가 비축 등 선제수급 관리”[생활물가]

김형일 기자I 2024.05.31 14:09:54

정부 "수급 안정 차원서 봄배추·무 추가 비축"
30일 배추 10㎏ 도매가 8072원 평년 수준 근접
가격 상승 폭 컸던 품목은 양파·쌀·육계

배추 가격이 평년 수준을 되찾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추가 대책이 나왔다.(사진=뉴스1)


[이데일리 김형일 기자] 배추, 무 가격 안정세가 기대된다. 정부가 봄배추와 봄무를 추가 비축하는 등 수급 안정 추가 대책을 내놔서다.

31일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여름배추 계약재배 물량을 6700t 확대하고, 6월 중으로 봄배추(1만t)와 봄무(5000t)을 추가 비축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배추·포도·코코아두(수입 전량), 양배추(6000t), 당근(4만t), 마른김(700t), 조미김(125t) 등 7종에 대해 올해 연말까지 무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달 들어 매일 배추 110t, 무 100t도 방출하고 있다.

정부의 장바구니 물가 안정 정책으로 배추 가격은 평년 수준을 되찾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10㎏) 가격은 도매 기준 지난달 2만180원까지 뛰었지만, 30일 8072원까지 내렸다. 평년 가격이 7674원인 점을 고려하면 안정세에 접어든 셈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관계자는 “노지 봄배추 전국 산지 출하로 배추 수급관리 가이드라인상 ‘하락주의’ 단계를 적용한다”며 “무도 총각무 출하량이 늘어나는 등 수요가 분산돼 가격 보합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무(20㎏) 가격은 지난달 2만340원까지 올랐지만, 30일 1만7467원을 가리켰다. 여전히 평년 가격 1만331원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이달 정부가 장바구니 안정 정책을 내놓은 이후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이외 농산물 가격을 살펴보면 쌀 20㎏ 가격이 지난 23일 4만9660원에서 30일 4만982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동기간 △양파(15㎏) 1만9040원→1만9640원 △대파(1㎏) 2082원→1948원 △양배추(8㎏) 2만1920원→1만4300원 등에 흐름을 보였다.

축산물 품목별 가격은 △소(1등급·1㎏) 1만4419원→1만4495원 △돼지(1등급·1㎏) 5716원→5522원 △육계(10호) 3265원→3441원 △달걀(특란·30개) 5261원→5160원을 나타냈다.

비교적 가격 상승 폭이 컸던 양파, 쌀, 육계의 시장별 소매 가격은 전통시장이 양파(1㎏) 2489원, 쌀(20㎏) 5만4738원, 육계(1㎏) 5781원으로 집계됐으며 대형마트가 양파 1986원, 쌀 5만3976원, 육계 6691원으로 조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