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삼성電, 11나노 신규 공정 추가..중·고급 스마트폰 겨냥

양희동 기자I 2017.09.11 11:00:00

11나노 공정 신규 개발해 고객 선택폭 넓혀
14LPP 공정 대비 성능 15%↑ 칩 면적 10%↓
7나노 EUV 공정 양산 위한 최고 기술 축적
15일 日삼성 파운드리 포럼서 현황 발표

김기남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이 지난 5월 미국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공정 로드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첨단 공정 로드맵에 11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신규 공정(11LPP·Low Power Plus)을 추가, 한층 강화된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11LPP는 이미 검증된 14나노의 공정 안정성과 설계 환경을 기반으로 한 공정이다. 14LPP 공정과 동일한 소비전력에서 성능은 최대 15% 향상되고, 칩 면적은 최대 10%까지 줄일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11나노 공정 추가를 통해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10나노 프로세서 시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고급 스마트폰용 프로세서 시장에서도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하는 11LPP 공정은 내년 상반기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 EUV(극자외선 노광기) 기술을 적용한 7나노 공정을 내년 하반기 생산 착수를 목표로 순조롭게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7나노 EUV 공정 개발을 위해 이를 적용한 웨이퍼(반도체 원료인 둥근 원판)가 2014년부터 약 20만장에 이른다. 또 지금까지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파운드리 공정 양산 완성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SRAM(256Mb)의 수율 80%를 확보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상현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마케팅팀장(상무)는 “14나노 파생 공정인 11나노 신규 공정을 통해 고객들은 이미 검증된 14나노의 안정성에 성능 향상을 더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게 됐다”며 “‘14→11→10→8→7나노’에 이르는 로드맵을 완성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지난 5월 파운드리 사업부 출범 이후 미국(5월)과 한국(7월)에서 관련 포럼을 개최해 글로벌 고객과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첨단 공정 로드맵을 공유한 바 있다. 또 오는 15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을 열어 기존 공정 로드맵과 함께 추가된 11나노 공정과 7나노 개발현황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