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동산 추가대책 나오나…홍남기 “모든 정책역량 투입”

이명철 기자I 2021.01.06 10:11:14

6일 관계장관회의, 주택 수급대책 현황·계획 논의
문 대통령 전날 “혁신적이고 다양한 주택공급안 마련”
변창흠 “국민 분양주택 원해…공공자가·임대 혼합 공급”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업해 가용한 모든 정책역량을 투입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방안을 주문한 가운데 추가 부동산 대책이 나올지 여부가 주목 받고 있다.

홍남기(가운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홍 부총리는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에서 그간 주택 수급 대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 등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지속되는 가격 상승세를 잡기 위해 여러 대책을 가동하고 있지만 아파트값 상승세는 꾸준하다.

월간 KB주택가격동향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4040만원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4000만원을 넘었다. 전년동월과 비교하면 1년만에 20.3%(635만원) 뛰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도 지난달 전국 주택 종합 매매가격은 전달보다 0.90% 올랐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5.36% 올라 2011년(6.14%) 이후 9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냈다.

지난해 연말까지도 가격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 12월 넷째주(28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8% 상승했다. 수도권은 0.23% 올라 6월 마지막주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자 문 대통령은 특단의 주택 공급 방안을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일 열린 국무회의에서 “투기수요 차단과 주택공급 확대, 임차인 보호 강화라는 정부의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대책 수립에 주저하지 않겠다”며 “무엇보다 혁신적이고 다양한 주택공급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동안 보유세 강화와 규제지역 확대, 대출 요건 강화 등으로 아파트 투기 수요에 대응했지만 주택 공급을 늘리는 방안도 중요하다는 점을 언급한 것이다. 기재부와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19일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을 통해 전국 11만4000가구의 전세형 주택을 공급한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홍 부총리도 지난달 관계장관회의에서 “내년 중 11·19 공급대책 물량을 포함한 주택 총 46만호, 아파트 기준 총 31만9000호를 공급하겠다”며 주택 시장 안정을 위한 공급 확대를 강조했다.

여기에 추가로 문 대통령이 ‘혁신적이고 다양한 주택 공급 방안’을 주문하면서 추가 공급 대책이 나올 수 있다는 예상이다.

변 장관은 전날 국무회의 이후 관계기관 간담회를 열고 “국민이 분양주택을 많이 원하기 때문에 분양주택 위주로 하되 소비자 선택권을 위해 공공자가주택이나 공공임대주택도 입지 여건에 따라 혼합 공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민·중산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꾸준한 임대 공급과 함께 분양주택 확대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