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방역당국 "델타·오미크론 변이로 집단면역 코로나 종식은 사실상 불가능"

양희동 기자I 2021.12.28 12:07:13

확산 빠른 변이 등장으로 위드코로나 체제 전환
추가적인 예방 접종 통해 위중증 및 사망자 관리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방역당국이 델타·오미크론 변이 등이 확산되는 상황으로 인해 집단면역 형성을 통한 코로나19 종식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밝혔다. 3차 접종 등 추가적인 예방 접종을 통해 중증화와 사망률을 낮추는 방식으로 일상회복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이 28일 정례브리핑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집단면역을 통한 코로나19 종식은 올해 중반 델타 바이러스의 변이 등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가능하지 않게 됐다”며 “올 상반기까지 집단면역을 통해서 코로나19 자체를 완전히 끝낼 수 있다고 하는 이론들이 등장했었지만, 그 가능성은 델타 변이 자체가 전파 속도가 워낙 빨라짐에 따라서 그리고 백신의 예방 효과가 더 떨어짐에 따라서 가능하지 않는 쪽으로 이미 귀결되었던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예방접종을 충분히 하게 되면 중증화와 사망률은 충분히 떨어트릴 수 있는 만큼 이후에 일상회복 혹은 외국에서는 위드 코로나라고 부르고 있는 이러한 체계로 전환했던 것”이라며 “충분한 예방접종을 통해서 총 유행 규모와 특히 위중증환자와 사망자를 일정 수준 이하로 통제하면서 감내할 수 있는 위험수준 이하로 관리한다는 개념으로 지금 이런 틀은 정립돼있고, 세계 각국이 거기에 따라서 움직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오미크론이란 또 하나의 새로운 변수가 등장해 의료체계 관리가 새로운 과제로 부각했다고 전했다.

손영래 반장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오미크론의 전파 속도가 델타보다도 훨씬 더 빠른 것으로 지금 증명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총 유행 규모를 의료체계의 한계 내에서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가 새롭게 대두되는 굉장히 큰 고민거리가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치명률이 정확하게 밝혀지고 있지 않은 상태로 중증환자와 치명 사망자가 어느 정도 같이 비율적으로 등장하게 될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일상회복 쪽에서의 의료체계의 감당범위 내 위중증환자와 사망자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시 한번 결정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