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원전·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CFE 활용해 탄소중립 실현해야"

윤종성 기자I 2024.03.15 14:00:01

15일 ‘CFE 잠재력 제고를 위한 세미나’ 개최
안덕근 장관 "주요국과 CFE 이행기준 조속 마련"

[이데일리 윤종성 기자] “기존 체계로는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이 어렵다. 재생에너지·원전·수소 등 다양한 무탄소에너지(CFE)를 폭넓게 활용해야만 효과적인 탄소중립이 실현 가능하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무탄소에너지 잠재력 제고를 위한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다양한 무탄소에너지의 공급, 활용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고 대한상의·CF연합이 공동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주현 산업연구원장,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을 비롯해 국내 대학·기업·연구소의 저명한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했다.

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교수의 ‘글로벌 기후위기 패러다임 전환’ 발표를 시작으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 대사의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 결정문의 의미와 세계 국가의 당면과제’ △김용건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의 ‘글로벌 탄소중립 시나리오(IPCC, IEA)’가 이어졌다.

휴식 시간 이후 열린 세션에서는 △손양훈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의 ‘무탄소경제 이행 전략’ △유승훈 서울과기대 융합과학대학원 교수의 ‘기후위기 대응: CFE 적정 역할’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의 ‘발전부문 무탄소화 전략’ △안윤기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상무의 ‘산업공정 무탄소화 전략’ △양의석 CF연합 사무국장의 ‘CFE 이니셔티브 추진 현황’ 발표가 계속됐다.

이여 열린 토론회에는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정범진 한국원자력학회장, 유휘종 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 등이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 체계 전환을 위한 ‘전력과 산업공정의 무탄소화 방안’ 등에 대해 활발하게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전문가들은 “첨단산업 등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 산업의 여건상 ‘탄소중립 대응’과 ‘산업경쟁력 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면 지난해 12월 COP28에서 국제사회가 합의한 것처럼 다양한 무탄소에너지를 적극 활용해야 하고, 무탄소에너지의 잠재력을 실제의 공급 능력 확충으로 연결해야 한다”는데 대체로 공감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우리 기업들에게 있어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과제이며, 산업경쟁력과도 직결되는 국가적 과제”라면서 “주요국과 무탄소에너지 이행기준을 조속히 마련하는 등 ‘CFE 이니셔티브’의 국제 확산을 통해 우리 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장은 “CFE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위해서는 산업계의 호응과 참여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며 “글로벌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국제규범으로 폭넓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나가자”고 부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